창평지구에 ‘북울산역세권 신도시’ 선다
중앙선 개통 등 수도권 연계 철도망 확충에 따라 울산 북부권이 광역신성장 거점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2조4000억원대 ‘복합신도시’ 개발 사업이 추진된다.
24일 울산시가 북구 송정지구와 호수지구 사이 창평지구 338만1000㎡ 부지에 2조4000억원을 투입해 공동주택과 학교, 주거·상업·의료·연구·복합시설 등이 들어서는 역세권 복합단지 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시는 홈페이지를 통해 북울산역세권(1단계) 도시관리계획(개발제한구역 해제) 결정(변경)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을 고시·공고했다.
개발에 앞서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는 일부 부지(90만㎡)부터 GB 해제하고, 개발사업을 단계별로 추진하겠다는 전략이다.
용역은 1년간 진행되며, 결과를 토대로 국토부와 사전협의를 진행하는 등 해제 절차에 들어갈 계획이다.
시는 북울산 역세권와 인접한 송정지구와 화봉지구 역시 당초에는 개발제한구역이었지만 국토부가 이를 해제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통해 개발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국토부의 의지만 있다면 북울산역세권 역시 개발제한구역 해제 후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시·도지사가 직접 해제할 수 있는 비수도권의 개발제한구역 규모가 100만㎡(약 30만평)로 확대됐다. 이로 인해 울산시가 국토부와 사전협의 절차만 통과하면, 중앙도시계획위원회를 거치지 않고 울산시도시계획심의를 받아 자체적으로 그린벨트를 해제할 수 있다.
또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통한 도시계획을 수립할 때 도시와 도시 사이 거리를 5㎞로 둬야 하는 ‘연담화’ 규제도 완화됐다. 지난 7월 관련법에 예외규정이 생겼다. 이에 울산시가 북울산역 역세권 및 창평동 개발을 위한 개발제한구역 해제 검토를 탄력적으로 추진하게 됐다.
시는 앞서 북울산역세권 개발제한구역 해제와 관련해 개발사업 수요조사 및 국토부 업무협의를 거쳤고, 지난해 8월께 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울산시의 기본계획에 따르면 북울산역세권 개발사업(1·2단계)은 총 338만1000㎡(약 102만평) 규모에 2조4000억원을 투입해 진행된다. 여기에는 보상비 1조4386억원도 포함됐다.
GB해제 절차를 마치면, 곧바로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1단계 개발사업에 돌입한다. 시는 1단계 사업으로 북울산역 일원 역세권 90만㎡를 대상으로 6676억원을 투입해 주거, 산업, 물류, 산업 복합기능 등 갖춘 북울산역세권 복합신도시 조성할 계획이다.
이후 2단계는 국책사업 공모 등을 통해 개발이 추진된다. 부지 면적은 248만㎡, 사업비는 1조7584억원으로 추산된다.
북울산역 일원은 철도·공항 및 주요 간선도로가 교차되는 지역교통의 결절지이자, 울산·미포국가산단 등 17개 산업단지 및 송정택지지구 등 기존 주거 밀집지역과 인접한 울산 북부대생활권의 요충지다. 이번 북울산역세권 개발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울산 북부권 광역신성장 거점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최근 울산에는 현대차 및 S-OIL 등 대기업과 이차전지 업체의 대규모 투자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 도심지 내 개발 가용지 부족으로 인해 연관기업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북울산역 일원 울산북부권 광역신성장 거점 조성을 위해 개발제한구역 일부를 해제함으로써 단절된도시공간을 연결하고,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