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기성정치권 싫증 느낀 유권자들 관심 끌어야
울산 총선 관전 포인트 - (6)울산 군소정당 생존전략은
규모·전면 내세울 인물 적어
옛 바른미래당·정의당 등
2018년 지방선거 당선자 없어
민중당 김종훈 의원 재선 도전
대결구도 변해 승리 보장 못해
홍보물 등 인지도 높이기 사활
집권여당과 제1야당 등 거대 양당을 제외한 정당들은 지역에서 생존하는게 쉽지 않다. 중앙 정치권에선 비교적 규모가 작은 정당들이 여러 정치세력과의 연대를 통해 몸집을 키우곤 하지만 지방에는 이들 세력의 규모 자체가 크지 않고, 전면에 내세울 인물도 부족하다보니 군소정당에서 벗어나는게 쉽지 않은게 현실이다.
국회 원내교섭단체 지위(20석 이상)를 가졌던 옛 바른미래당의 경우 집권여당 더불어민주당과 제1야당 미래통합당에 이은 국회 제2야당이었지만 지난 2018년 울산 지방선거에서 광역·기초단체장은 물론 광역·기초의원까지 단 한 명의 당선자도 내지 못했다. 원내교섭단체는 아니지만 전국적으로 적지 않은 인지도를 가진 정의당도 마찬가지였다. 40여일 앞으로 다가온 4·15 총선에선 어떨까.
울산의 군소정당도 총선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과거 울산 정치권에서 제1야당의 지위까지 얻었지만 지금은 군소정당으로 꼽히는 민중당이 대표적이다. 당내 유일한 현역인 김종훈(울산동) 국회의원이 시당위원장을 맡고 있는 울산 민중당은 2016년 제20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김종훈·윤종오 의원을 중심으로 창당한 정당이다. 윤 전 의원이 당선무효형을 받기 전까진 2명의 현역의원이 있었다.
김 의원은 이번 총선에서 민중당 최초로 재선을 노리지만 당선을 보장할 수는 없다. 김 의원이 국회의원 또는 동구청장에 당선될 때까지만 해도 사실상 보수와 진보후보간 대결이었지만 민주당이 2017년 문재인 정권을 창출하고 2018년 지방선거에서 울산 지방정부 및 의회를 사실상 장악하면서 이번 총선에선 집권여당-보수-진보 후보간 대결로 구도가 바꼈다. 동구와 함께 노동자의 도시로 꼽히는 북구 역시 집권여당과 보수, 진보 후보간 대결이 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동구와 북구에서 진보정당 소속 2명씩의 후보가 출마 선언을 하면서 ‘후보 단일화’가 불가피하다. 진보정당의 후보 단일화 전략은 지금까지 울산을 소위 ‘진보정치의 1번지’로 만든 일등공신이기도 하다. 노동자 정치세력화를 추구하는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울산 정의당, 민중당, 노동당 등이 참여한다.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이 신설합당하면서 창당한 민생당. 4·15 울산 총선에는 강석구(남구갑)·고원도(남구을)·김도현(북구) 등 3명의 예비후보가 등록돼 있다. 강석구·고원도 후보는 옛 바른미래당 출신, 김도현 후보는 민주평화당 출신이다. 합당을 통해 덩치를 키우긴 했지만 거대양당이나 진보정당에 견주기에는 힘에 부친다.
허경영 대표가 이끄는 국가혁명배당금당 소속으로 울산 6개 선거구에 출사표를 던진 후보도 10명이나 된다. 이들은 출마 또는 공약발표 기자회견을 통해 유권자들에게 이름과 얼굴을 알리는 등의 선거운동에는 전혀 나서지 않고 있다. 하지만 선거구별로 최소 1명 이상의 후보가 등록해 관내 유권자들에게 정당 등을 알리는 홍보물을 발송하며 당의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기성정치권에 싫증을 느낀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 가능성도 있다.
군소정당들은 지역구 당선자를 내는게 쉽지 않다. 다만 국회 지역구 253개 의석을 제외한 47석 중 30석에 대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된 상황에서 정당 지지율을 높이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다.
전국적 인지도를 가진 정의당이나 민생당 역시 울산 6개 선거구에 출마한 예비후보가 많지 않고 당선 가능성도 높지 않지만 출마 자체가 정당 지지율을 높이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이같은 상황이 맞물리다보니 진보후보 단일화가 과거 선거에 비해 더욱 치열하고 파열음을 낼 가능성도 있다. 이왕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