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북구 총선공천 여야 눈치작전
4·10 총선 관련, 거대 여야 정당이 울산 관내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북구 본선 대진표 완성을 놓고 상대 당의 공천 향방에 ‘눈치작전’을 펼치며 늑장 공천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여야 지도부가 북구지역 후보 선정에 지연 전략을 펼치는 배경은 노동계의 심장부인 북구 후보 경쟁력 판도와 여론 추이에 따라 같은 노동계의 심장부인 동구까지 연동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4년 전인 21대 총선에서 동·북구 표심 결과에 따른 ‘정치적·심리적 트라우마’와 직·간접 관련성을 찾는 시각이 많다.
지난 21대 총선 결과 북구는 더불어민주당 이상헌 의원이 46.3%, 국민의힘 전신 자유한국당 박대동 전 의원이 40.9%를 득표해 5.4%p의 박빙의 차이로 이 의원이 당선됐다.
동구는 자유한국당 권명호 의원이 38.4%, 진보당 김종훈 후보가 33.9%(현 동구청장), 더불어민주당 김태선 후보가 24.5% 각각 득표했다. 1~2위간 표차는 4.4%p로 사실상 진보 진영의 분열로 권 의원이 당선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와 정영환 공천관리위원회는 22대 총선에선 북구 탈환 방침을 굳히고 다각적인 전략을 세우는 한편, 공천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분석에 착수했다. 이와 함께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확정될 때까지 가능한 최종 후보 선정을 늦추기로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북구 공천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가능한 야당의 공천 결과를 지켜본 뒤 종합적 판단을 해야 하지 않겠나”라며 “1+1이냐, 2대0이냐의 중대기로에 서있는 형국”이라고 했다. 북구와 동구를 연동시켜 판단하고 있다는 의미다.
현재 국민의힘 공천 신청자는 19대 국회의원을 지낸 박대동 전 의원과 정치락 전 시의회 운영위원장 등 2명이다.
당 공천관리위는 이미 이들 신청자를 대상으로 여론조사 및 서류심사를 거친 뒤 오는 17일 면접 심사를 앞두고 있다.
하지만 전략 지역구 분류에 따른 심적 부담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인데다 면접심사 이후에도 상당기간 후보 선정이 지연될 경우 당사자는 물론 조직 가동에도 피로감이 증폭될 우려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박 전 의원측과 정 전 시의원측은 공히 “가능한 후보 추천을 선제적으로 결정, 본선에서 필승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공천 지휘부 역시 북구에 대해 심층분석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재명 대표와 박홍근 전 원내대표 등 투톱으로부터 각별한 신임을 받아 재선 임에도 국회 상임위원장을 맡은 이상헌 의원에 대한 의정활동 성적표 등 각종 지표를 놓고 공천 신청자 3명과 함께 시뮬레이션을 펼친 것으로 파악된다.
이 의원 외에 공천 신청자는 이동권 전 북구청장, 박병석 전 시의장, 백운찬 전 시의원 등 3명이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 “울산 북구 현역 이상헌 의원 지역구는 영남권 교두보로서 매우 중요한 자산으로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최대한 공천 신청자들과 함께 경쟁력을 분석 중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여당의 공천심사 결과를 포함해 다양하고도 깊이 있게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는 게 내부 방침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