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행동시 비대면진료 전면 허용”

2024-02-20     김두수 기자
국민의힘과 정부(당정)는 19일 의사 집단행동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 피해가 돌아간다며 당장 대화의 장으로 나와달라고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에 나서는 등 의사들이 집단행동을 예고한 데 대해 “지금이라도 대화의 장으로 나와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고 필수·공공·지역 의료를 살리는 현실적 방안을 마련해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호준석 대변인은 논평에서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은 위기에 놓인 우리 필수·공공·지역의료를 살리기 위한 의료 개혁의 필수 조건이며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고 말했다.

호 대변인은 “벌써 일부 병원들이 수술과 입원 일정을 조정하고 나서 환자들은 속수무책으로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상황이다. 의사들이 있어야 할 곳은 병원 밖과 거리가 아닌 환자 곁이다. 집단행동의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간다는 사실과 함께 촌각을 다투는 응급 환자들과 그 가족들의 심정을 헤아려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국민 생명과 건강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의료계 목소리를 듣고 소통할 준비가 돼 있다. 마지막까지 대화의 끈을 놓지 않겠다.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중증 응급 환자들이 위협받는 상황이 오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을지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한지아 비상대책위원은 당 회의에서 “정부와 의료인 간 강 대 강 대치의 피해는 바로 국민이다. 서로가 힘으로 눌러 굴복시키는 방식이 아닌, 힘들더라도 각고의 인내와 대화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의료인의 적절한 증원은 지역 간 의료 격차와 초고령사회를 향해 가는 우리나라에 필요한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의사 집단행동 대응 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집단행동시 정부는 공공의료 기관의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고, 집단행동 기간 비대면진료를 전면 허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어 “집단행동이 본격화하면 의료공백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특히 중증 응급환자들이 위협받는 상황을 초래해서는 절대 안된다”고 했다.

한 총리는 또한 “정부는 전국 409개 응급의료기관의 응급실을 24시간 운영해 비상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 응급·중증 수술을 최우선으로 대응하고, 필수의료 과목 중심으로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체계를 갖추겠다. 상황 악화시 공보의와 군의관을 투입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했다.

한 총리는 공공의료 기관 비상진료 체계에 대해서는 “97개 공공병원의 평일 진료시간을 확대하고 주말과 공휴일에도 진료하도록 하겠다. 12개 국군병원 응급실을 민간에 개방하고 필요시 외래 진료까지 확대하겠다”고 했다.

이어 비대면진료와 관련해선 “만성·경증환자 분들이 의료기관 이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집단행동 기간 전면 허용 계획”이라며 “관계부처는 병원들의 준비 상황을 철저히 점검하고 정보를 국민에게 알기 쉽게 충분히 안내해 달라”고 주문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