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기업 “선제적 특별연장근로 인가를”
신종코로나 확산 사태 속
대한상의 대책반, 애로 조사
매출감소·부품수급 등 호소
60%가 정부의 금전지원 건의
중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사태로 기업들의 ‘매출감소’ ‘부품·원자재 수급’ ‘수출애로’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대한상의(회장 박용만)가 지난 2월 이후 ‘코로나 대책반’을 가동해 기업 애로사항을 접수 받은 결과 6일 현재 총 357건 가운데 기업들이 가장 많이 겪는 어려움은 ‘매출감소’(38.1%)로 파악됐다. 이어 ‘부품·원자재 수급’(29.7%), ‘수출애로’(14.6%), ‘방역용품 부족’(5.3%), ‘노무인력관리’(4.8%) 등이었다.
산업별로는 우선 제조업의 경우 중국과 거래관계가 많고 공단·제조업 밀집지역인 경기·경남·경북 등을 중심으로 매출감소, 원자재 조달 애로를 호소하는 기업들이 많았다.
지역별로는 부산·울산·경남지역은 원자재 수급지연과 가동인력 감소 등에 따른 생산차질을 빚는 기업이 늘고 있다며 개별 단위건으로 인가해 주는 방식이 아닌 선제적인 특별연장근로 인가를 요청했다.
울산의 A석유화학업체는 대기오염물질을 2주에 1회 주기로 측정할 의무가 있다. 하지만 대부분 사업장이 인력·장비 문제로 측정대행업체에 위탁하여 의무 준수하고 있는데 검역강화로 재택근무 많고 외근과 출장, 외부인 출입은 제한돼 정상업무가 불가능하다면서 측정 의무 유예를 요청했다.
경남의 B기계제조업체는 국내 감염확산에 따른 생산차질로 거래처 상실 우려가 높아져 현재 근무가능인력 풀가동할 수 있도록 선제적 특별연장근로 인가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서비스업의 경우 코로나 확산으로 생존까지 위협받는 상황으로 조사됐다. 외부활동을 꺼리고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도소매, 음식·숙박업 등 내수·관광업종을 중심으로 매출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에 대한 건의사항으로는 ‘자금지원’(35.1%)을 요청한 기업이 전체의 3분의 1에 달했다. 이어 ‘마스크·세정제 등 방역용품 지원’(18.8%), ‘세금감면·세무조사 연기 등 세제·세정지원’(13.4%), ‘고용유지지원’(10.9%), ‘노동·환경 등 규제완화’(6.4%)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자금지원, 세제·세정지원, 고용유지 지원 등 금전적 지원을 요청한 사항이 60%에 달해 코로나 사태가 수출문제를 넘어 소상공인과 기업의 존립기반까지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