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한국 조선업 수주 1위 다시 탈환
韓, 전체 발주량 67% 확보
필리핀 19%·日 10% 뒤이어
중국은 코로나 사태로 주춤
2020-03-10 김창식
10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 30만CGT(18척) 중 20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8척을 수주하며 전체 발주량의 67%를 확보했다. 한국에 이어 필리핀 6만CGT(4척, 19%), 일본 3만CGT(1척, 10%) 순이었다. 중국은 680TEU급 컨테이너선(8000CGT) 1척을 수주하는 데 그쳤다. 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이다.
중국은 1월엔 51만CGT(22척)로 1위였는데 실적이 급격히 쪼그라들었다. 업계에서는 신종코로나로 조선소를 정상가동하지 못한 영향으로 보고 있다. 세계 선박 발주량을 1~2월 합해서 보면 117만CGT로 작년 동기( 489만CGT)에 비해 76% 감소했다. 지난해(-37%) 보다 더 부진했다.
선종별로 S-Max급 유조선과 A-Max급 유조선은 발주가 작년 동기에 비해 각각 33%(9만CGT→ 12만CGT), 70%(9만CGT→ 12만CGT) 증가했다. 반면 초대형 유조선(VLCC) 및 벌크선 발주량은 감소했다. 대형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14만㎥ 이상)은 올해 아직 발주가 없다.
2월말 세계 수주잔량은 7407만CGT로 전월 말 대비 160만CGT(2%↓) 감소했다. 국가별로 한국(-68만CGT,-3%), 일본(-47만CGT, -4%), 중국(-23만CGT, -1%) 모두 줄었다.
작년 동기와 비교하면 일본(-559만CGT·-34%), 중국(-435만CGT·-14%)의 감소 폭이 크다. 한국도 80만CGT(-4%) 줄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616만CGT(35%)이 1위이고 한국 2128만CGT(29%), 일본 1091만CGT(15%) 순이다. 2월 세계 선박 인도량은 117만CGT로 전월(349만CGT)에 비해 66% 감소했다. 중국은 6만CGT(3척)로 전월 보다 96%, 작년 동기보다 83% 급감했다. 한국은 전월 대비 54%, 작년 동기대비 33% 줄었고 일본은 각각 39%, 31% 감소했다.
이형중기자·일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