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미래 걸린 과학영재학교, 법 개정에 사활 걸어야

2024-05-01     경상일보

울산지역 인재 육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UNIST(울산과학기술원) 부설 과학영재학교 설립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 관련법이 제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울산은 청년층 인구가 심각한 수준으로 빠져나가는 위기에 처해 있는만큼 하루라도 빨리 관련법을 제정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울산출신 국회의원 등 정치권의 영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울산시와 지역 정치권, UNIST의 다각적인 협조와 대책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다.

현재 과학영재학교는 서울과학고,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경기과학고, 대구과학고, 대전과학고, 광주과학고,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한국과학영재학교 등 8개교가 있다. 이와 함께 충북에 KAIST 부설 인공지능-바이오 영재학교가, 광주에 인공지능 영재학교가 잇따라 설립 추진 중이다.

이처럼 지역마다 너도나도 과학영재학교를 설립하는 것은 이 학교가 도시의 미래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특히 울산의 경우에는 청년 인구를 붙잡아 놓는 막중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울산지역 산업에 중요한 기반이 된다. UNIST는 최근 과학영재학교 설립과 관련해 “지역 우수 학생 유출 방지, 과학영재 발굴 및 육성, 울산지역 고교와 대학 간 인력풀 확충 등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울산은 청년들의 타지 유출이 심각한 수준에 와 있다. 광역시 중 유일하게 국립종합대학교가 없다 보니 고교 졸업 후 울산지역 대학 진학률이 43%에 불과하고 해마다 4800여명씩 지역 인재가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은 한번 수도권으로 나가면 대부분 돌아오지 않는다.

이 가운데 올해 초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울산을 비롯한 대구·경북, 충남 등지에 5억원씩의 영재학교 설립 타당성 검토 용역 예산을 배정한 것은 매우 환영할 만한 일이다. 용역에는 지역 수요와 정원 규모, 영재학교가 들어설 부지, 교육운영 방향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UNIST의 ‘울산과학기술원법’에 과학영재학교 설립의 근거가 되는 법이 없다는 것이다. 반면 현재 GIST(광주과학기술원)의 경우 지난 1월 부설 AI영재학교 설립 근거를 담은 ‘광주과학기술원법’ 일부개정 법률안이 공포됐다.

산업수도 울산은 그 어느 지역보다 과학영재가 필요한 곳이다. 울산의 미래가 과학영재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총선에서 선출된 지역 출신 국회의원들이 울산 과학영재학교 설립에 단합된 역량을 확실하게 보여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