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꺾일 줄 모르는 생활물가, 우울한 가정의 달
울산지역 4월 소비자물가가 전년동월보다 3.2% 올라 여전히 3%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그 중에서도 과일과 채소는 높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했다. 정부는 자금 투입과 함께 기상·수급여건이 점차 개선되면 농축수산물 물가가 조금씩 안정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 정도는 그 이상이다. 정부는 농산물 할당관세 적용, 비축 물량 방출, 할인지원 등 과감한 정책을 계속 추진해야 할 것이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9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8%에서 2~3월 연속으로 3.1%에 머물다가, 석 달 만에 2%대로 떨어졌다. 그러나 울산은 전국보다 물가가 훨씬 높아 2%대로 떨어지지 못했다. 그럼에도 정부는 그나마 한숨 돌린 분위기다.
통계청에 따르면 시민들이 자주 구입하는 물품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동월 대비 3.5%나 상승했다. 사과(80.8%, 울산은 89.7%)와 배(102.9%, 울산은 110.5%)를 중심으로 신선과실이 38.7%나 상승하면서 3월(40.9%)에 이어 40% 안팎의 오름세를 유지했다. 특히 배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75년 1월 이후로 최대의 상승 폭을 기록했다. 정부의 긴급안정자금이 지원되고 있지만 사과나 배는 저장량과 출하량이 적다 보니 가격이 크게 떨어지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소비자물가가 이처럼 이중적인 성격을 띠게 된 것은 역대급으로 오른 농축수산물과 외식가격 강세,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압력을 도외시한 ‘착시’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지난해 8월 이후 3%대 초중반 상승률을 이어간 ‘기저효과’도 배경에 깔려있다. 또 물가를 강제로 누르려는 정부의 압박이 한계점에 도달한 것도 문제다. 정부가 관련업계를 압박하며 가격인상 시점을 미뤘지만 총선이 끝나면서 한꺼번에 가격 인상이 분출했다는 것이다. 외식업계에선 이미 프랜차이즈업계를 중심으로 줄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냉면 한 그릇의 가격이 1만5000원~2만원까지 올랐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등 각종 기념이 다가오면서 가정경제를 책임지고 있는 가장들은 요즘 괴롭다. 울산에서는 가격 인상요인이 없는데도 동종업계나 주변 여건에 편승해 가격을 대폭 올리는 행위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정치권의 민생정치도 시급하지만 업주들의 부당한 가격인상 자제도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