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거리 문화예술업종 지원사업 이대로 괜찮나]지원기간만 ‘반짝 효과’…임차료 인상 악용도

2024-05-24     권지혜 기자

울산 중구청이 성남동 문화의 거리를 활성화하기 위해 임차료와 행사비 등을 지원하는 ‘문화의 거리 문화예술업종 지원사업’이 올해로 시행 13년째를 맞고 있으나 실효성을 놓고는 여전히 논란이다. 지원사업을 통해 문화의 거리 일대 상권이 활성화 되고 있다는 긍정적 평가 속 지원할때만 반짝 효과가 나는 등 ‘밑빠진 독에 물붓기’식의 지원이라는 부정적 시각도 상존한다. 이에 본보는 이 사업이 실질적인 지원사업이 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지 등을 모색해본다.

◇임차료 지원 끝나면 빠져 나가

중구청은 지난 2012년 7월26일 문화의 거리 육성위원회를 열고 원도심 일원의 H자 거리를 문화의 거리로 지정했다. 지원구역은 H자 거리를 포함해 반경 50m 정도다. 이어 그해 8월1일에는 시계탑사거리와 울산동헌 등 일대를 문화의 거리로 지정 공포했다.

중구청은 문화의 거리를 활성화하기 위해 2012년부터 ‘문화의 거리 문화예술업종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화랑, 골동품점, 공연장, 전시장 등 중구청장이 인정하는 문화예술과 관련된 업종 중 점포의 면적이 23㎡ 이상이고 연 2회 이상 공공행사 참여, 주 5일 이상 영업장 운영을 하는 곳에 한해 임차료와 행사비를 지원한다.

임차료는 월별 임차료의 80% 범위에서 월 30만원 이내, 3년간 최대 1080만원을 지원한다. 지금까지 공연장 26곳, 갤러리 24곳, 공예 35곳, 소극장·공연장 7곳, 화실 22곳 등 총 134곳이 임차료를 지원받았다. 2012년부터 올해까지 총 28억여원이 투입됐다.

그러나 3년간의 임차료 지원이 끝나면 더 싸고 넓은 곳으로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아 문화의 거리 활성화 효과가 꾸준히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 문화의 거리에 입점한 문화예술업종은 갤러리 12곳, 화실 4곳, 공연장 3곳, 복합(공연·갤러리) 3곳, 공예 19곳, 문학 1곳, 공연 17곳, 미술 1곳 등 60곳에 불과하다. 지금까지 임차료를 지원받은 곳의 절반 수준에 그치며 절반 가량이 문을 닫거나 다른 곳으로 빠져 나간 셈이다.

한 지역예술가는 “문화예술업종 지원사업을 시행하면서 문화의 거리가 예전보다 활성화 되기는 했다. 그러나 3년의 임차료 지원이 끝나면 빠져나가는 곳이 많아 기대만큼 활성화 효과를 거두진 못했다”며 “또 일부 건물주들이 지원사업을 악용해 임차료를 올리면서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홍보 부족에 행사비 지원 잘 몰라

중구청은 문화의 거리 문화예술업종 지원사업을 통해 3년의 임차료 지원 외에도 행사비를 지원하고 있다. 전시, 공연 등 행사비의 80% 범위 내 최대 150만원을 연 1회 지원한다.

중구청은 지난해 9월 ‘울산시 중구 문화의 거리 조성 및 지원 조례’ 시행규칙을 개정하면서 행사비 지원 비율을 60%에서 80%로 확대하고 지원기준도 면적 33㎡ 이상에서 23㎡ 이상으로 완화했다.

그러나 문화의 거리의 상당수 문화예술업종 종사자들은 임차료 지원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반면, 행사비 지원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는 실정이다.

문화예술업종 행사비 지원사업 추이를 보면 지난해 문화예술업종 60곳 중 공연 12곳, 전시 3곳, 공예 10곳, 연극 1곳 등 25곳만 행사비를 지원받았다.

문화의거리 관련 종사자들은 “행사비 지원이 형식적이다. 보다 다양하게 실질적으로 지원해줬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중구청 관계자는 “지난해 4월 문화예술업종, 중구청, 시립미술관을 주축으로 한 문화예술업종 운영자협의회가 구성된 이후 지원사업에 행사비 지원도 포함됐다는 것이 많이 알려지고 있다”고 밝혔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