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부터 취업까지 울산서 걱정없게

2024-05-28     석현주 기자
이미지

지역 인재와 기업이 함께 하는 울산형 교육발전특구에 대한 밑그림이 완성됐다.

울산시와 울산시교육청은 울산형 책임 돌봄 프로젝트를 통해 지방 정부의 돌봄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 연계 교육 과정 운영으로 정주 여건을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시는 27일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사업운영계획 보고회’를 개최했다. 시는 이날 보고회를 통해 관계 기관의 의견을 수렴·반영해 완성된 사업 운영 계획서를 오는 31일 교육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교육발전특구는 교육부 주관으로 지방자치단체·교육청·대학·지역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지역 교육 혁신과 인재 양성,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이다. 올해 초 시와 시교육청은 ‘지역 인재와 기업이 함께하는 울산형 교육발전특구’를 주제로 교육발전특구 시범 지역 지정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후 1차 시범 지역으로 선정돼 3년간 특별교부금으로 30억~100억원을 지원받고 규제 개선, 특례 적용 기회 혜택을 받게 됐다. 3년간 시범 운영 후 교육발전특구위원회 평가를 거쳐 정식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이날 보고회에서 발표된 사업 운영 계획에 따르면 울산형 교육발전특구는 3대 분야 12개 과제를 담고 있다. 3대 분야는 ‘유아·돌봄’ ‘초·중·고’ ‘대학·기업’이다.

먼저 ‘유아·돌봄 분야’는 울산형 책임 돌봄 프로젝트, 지역특화 도담도담 교육과정 운영, 방과 후 돌봄, 유보통합 연계를 추진한다. 학교뿐만 아니라 직장, 지역 사회 주도의 책임 돌봄 시스템 운영으로 지방 정부의 돌봄을 강화하고 아이 키우기 좋은 유아 교육 과정을 개발·운영할 계획이다. 지역 대학과 연계해 방과 후 돌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보통합 모델도 개발한다.

‘초·중·고 분야’는 울산 아이꿈터 조성, 지역 연계 교육 과정 운영으로 정주 여건 개선, 고졸 취업 활성화·지역 정착 확대, 협약형 특성화고 육성을 추진한다. 산업체 등 견학·체험 프로그램 운영으로 진로 기초 소양을 높이고, 지역 공기업·지자체와 연계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등 지역 연계형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사교육 없는 학력 향상 지원, 공교육 대입 상담 시스템 기반 학생 맞춤형 진학 지원 등 공교육 강화를 위한 과제도 추진한다.

‘대학·기업 분야’는 지역 의대 증원·지역 인재 전형 확대, 고교·대학 공동 교육 과정 운영으로 지역 인재 양성, 지역 인재와 기업 지원을 통한 정주 인력 증대, 케이팝 사관학교 설치 운영·저변 확대 등을 추진한다. 특히 글로컬 대학과 연계한 고교·대학 간 공동 교육 과정 운영, 시공간 초월형 캠퍼스(UbiCam) 조성 등으로 지역 인재와 기업을 지원하고 지역 의대와 대학의 지역 인재 전형을 확대할 방침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교육발전특구 시범 운영으로 지역 내 취업과 정주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역 인재 유출 방지를 통한 지역 정주 인력 증가로 지방 시대 구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시범 지역 운영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