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김재홍 제2기 울산시 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 “시민안전 기반 정책마련에 솔선수범 할것”
2024-05-29 석현주 기자
자치경찰제는 경찰의 사무를 ‘자치경찰’과 ‘국가경찰’로 나눈 것이 큰 골자다. 자치경찰 사무에는 생활안전, 여성·청소년, 교통 등의 업무가 포함되며 정보나 보안 업무는 국가경찰이 맡는다. 자치경찰 업무는 주로 주민 생활과 직결된 부분이다. 시민의 치안, 안전을 위해서 정책을 결정하고 지방 경찰청과 협의해 실제로 실행하는 조직인 것이다.
제2기 위원장으로 지명된 김재홍 울산대학교 행정학과 명예교수는 1994년 울산대학교 교수로 인연을 맺은뒤 울산(발전)연구원 연구자문위원,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반구대포럼 상임대표(현 고문) 등 지역 활동은 물론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공공기관이전·도시·환경 전문위원, 한국지역학회 회장(현재 고문) 등의 활동을 펼쳤다. 또 경찰 업무와 관련해 지난 2020년 8월부터 울산경찰청 시민감찰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울산 지역 자치경찰제 운영 방향의 열쇠를 쥐고 있는 김 위원장에게 향후 추진 방향을 물었다.
울산에서 자치경찰제가 시행된지 4년째다. 자치경찰제의 현주소를 진단한다면.
“자치경찰제는 제도적으로 완전하지 않아 시행 초기부터 여러 문제점이 지적됐다. 조직, 인력, 예산 등이 자치경찰제 시행 전과 비교해 달라진 게 거의 없다. 이 때문에 ‘반쪽짜리 자치경찰’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앞으로 17개 시도 자치경찰위원회와 함께 협력해서 해결점을 모색해 나가겠다.”
그동안 지방행정학을 강의해 왔는데 자치경찰위원회 활동에 어떤 도움이 될까.
“자치경찰은 생활안전, 교통, 학교 폭력 등 도시 행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전부터 건의하고 싶었던 내용이 많다.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펼쳐나가겠다.”
울산 지역 특수성을 감안한 특별한 활동 계획은.
“울산 동구를 보면 재미있다. 내국인들은 무리를 지어다니는 외국인들로 인해 불안감을 호소하는 반면, 외국인 역시 같은 불안감으로 무리를 지어 다닌다고 한다. 최근 들어 외국인 노동자가 늘어나면서 치안 문제가 대두되고 있지만, 서로 소통한다면 해결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지역 주민과 외국인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공간과 제도가 마련되면 좋겠다.”
앞으로 3년간 위원회를 어떻게 이끌어갈 계획인가.
“우리 위원회가 할 수 있는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한 뒤 구체적인 계획들을 수립해 나갈 예정이다. 일단 주차 단속 등 교통 질서 확립을 위해 힘쓰면서 울산시 도시 계획이나 교통 정책과 연관해 풀어낼 수 있도록 방법을 모색해 나갈 것이다. 이와 더불어 축제나 행사장에서의 안전·경비 문제에도 힘을 쏟겠다. 울산에서는 이태원 사건 처럼 대규모 인파가 몰리는 일이 잘 없긴 하지만 신경 써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또 청소년 학교 폭력이나 여성 안전을 위협하는 스토킹 문제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시민들의 체감 안전도를 제고하겠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