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발 친기업 행정, 지방-기업 상생 전략 돼야

2024-06-05     경상일보

저출산과 인구감소로 지역소멸의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지자체 간 사활을 건 기업유치 경쟁이 전개되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 유치야말로 지방이 살아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투자기업에 전담 공무원을 파견해서 행정절차를 획기적으로 줄인 울산시의 현대차 전기차공장 사업 밀착지원 노하우가 전국 지자체와 기업인들에게 공유됐다.

행정안전부는 4일 서울창업허브 공덕에서 전국 지자체(투자유치·관광 분야), 기업(지방투자·인사) 담당자 등을 초청해 ‘지역-기업 상생 프로젝트’ 설명회를 개최했다. 전국경제인협회, 대한상의, 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경영자총협회, 중견기업연합회 등 경제 6단체가 후원한 행사다. 기업들이 지자체의 기업지원 정보를 파악하고 투자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탐색의 자리였다.

울산시는 이 자리에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의 전기차공장 사업업 대한 기업지원체제 노하우를 공유했다.

시는 현대차 울산전기차공장 사업이 많은 절차 이행으로 준공이 지연되는 난관에 봉착하자 전담지원팀을 꾸려 각종 제반 절차를 쪼개서 진행, 행정 절차를 10개월로 단축해 조기 착공하도록 도왔다. 이같은 성공 사례는 정부차원에서 전국 지자체에 도입이 권유되고 있다.

시는 나아가 올해 ‘기업현장지원 전담팀(TF)’을 구성해 S-OIL, 삼성SDI, 고려아연 등 대규모 투자기업에 대한 현장지원 업무를 한층 강화했다. 말 그대로 기업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지자체와 기업이 서로 상생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런 친기업 행정이 울산시가 민선 8기 지방정부 출범 이후 2년도 채 안 되는 사이에 총 20조원이 넘는 기업투자 유치에 성공한 비결이라 할 수 있다.

이날 대구시도 국가산단 2단계 계획상 가동 시기보다 1년 이상 앞당겨 공장을 가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차전지 양극재 제조공장을 유치하도록 적극 지원한 사례를 소개했다.

지자체와 기업 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은 기업투자를 촉진하고 조기에 일자리를 창출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이른바 기업투자의 선순환 효과다. 모든 문제의 해결책은 현장에 있다. 지자체 공무원들이 기업 현장에서 직접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 그것이 바로 적극 행정이고, 기업친화 행정이다. 정부는 지방이 소멸위기에서 벗어나 균형발전을 할 수 있도록 기업의 지방 이전 및 투자를 적극 유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