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병원 “사직서 수용 내부 검토중”
2024-06-05 박재권 기자
‘비상 경영 체제’를 가동 중인 울산대학교병원은 사직서 수리 등에 대한 내부 검토에 들어간 가운데 대다수 전공의들은 ‘의대 증원 백지화’ 없이는 복귀하지 않겠다며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정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명령 철회를 알리며 진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환자와 국민, 그리고 의료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진료 공백이 더 이상 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부가 내린 결단”이라며 “오늘부터 각 병원장은 전공의의 개별 의사를 확인해 복귀하도록 상담·설득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3개월이 넘는 기간에 다행히 국민 여러분께서 많은 협조를 해주셔서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전공의가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현장의 의료진은 지쳐가고 있고, 중증질환자의 고통이 커지는 상황에서 전공의 복귀를 위한 정책 변경은 불가피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날 명령 철회 문서를 각 병원에 발송했다.
하지만 정부의 이 같은 발표에도 대다수 전공의들은 의대 증원 백지화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전공의 집단 사직에 따라 100일 넘게 이어진 의료 공백이 곧바로 해소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 발표와 관련해 울산대병원 측은 “갑작스러운 정부의 발표에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며 “사직서 수용에 대해서는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부터 비상 경영 체제를 가동 중인 울산대병원은 전체 전공의 126명 중 80~90%가 현장을 이탈한 뒤 교수와 간호사들이 진료와 응급실 당직을 이어가며 업무 강도가 높은 상황이다. 이후 수술·병상 등 병원 운영은 50%까지 감소했다.
병원은 2개 병동을 통폐합하고 무급 휴가 사용을 촉진하는 등의 대책을 펼치고 있다. 업무량 증가에 따라 병원과 노조 간 갈등도 심화되고 있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