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또 집단휴진 결의한 의협, 국민 눈이 무섭지 않나
범의료계가 대한의사협회를 중심으로 이달 18일 전면 휴진에 나서기로 했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3개 수련병원은 이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대학병원과 동네 의원 등이 대거 휴진에 참여할 경우 환자 피해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환자단체들은 “집단이익 위해 본분을 망각한 이기적이고 몰염치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의협은 9일 오후 의협 회관에서 의대 교수와 봉직의, 개원의 등이 참여하는 전국의사대표자회의를 열고 대정부 투쟁에 관한 전체 회원 투표 결과를 공개한 뒤 18일 전면 휴진과 총궐기 대회 개최 등을 선언했다. 이번 투표에서는 투표 의사 73.5%가 단체 행동에 참여하겠다고 응답했다. 임현택 의협 회장은 이날 투쟁 선포문에서 “정부의 무책임한 의료농단, 교육농단에 맞서 대한민국 의료를 살려내기 위해 우리 모두 분연히 일어날 것”이라며 “범의료계 투쟁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해 총력 투쟁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울산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등은 “대한의사협회와 대한의학회,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와 뜻을 함께 한다”며 “집단 행동 방침을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전공의 사태가 해결되지 않으면 오는 17일부터 전체 휴진에 돌입하겠다고 결의했다. 전공의에게 내린 행정처분 절차를 완전히 취소하지 않으면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 부서를 제외한 모든 진료과가 무기한 전체 휴진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정부가 병원으로 복귀하는 전공의는 선처하겠다고 밝혔는데도 교수들은 면허정지 등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을 아예 없애야 한다고 주장한다. 집단 이기주의의 표본을 보는 것 같아 안타깝기 그지 없다.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이 100일 넘게 이어지면서 환자들과 가족들의 불안감은 이미 임계치에 이른 상태다. 그런데도 의사단체들은 환자들의 고통은 아랑곳하지 않는다. 보건의료노조가 지난달 28~29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국민 85.6%는 “의사들은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환자 곁으로 복귀해야 한다”고 답했다. 의사들의 집단행동에 대한 지지는 12.0%에 불과했다. 9일 집단휴진 계획을 발표하자 환자단체와 노동단체, 시민단체가 일제히 환자들을 볼모로 한 집단행동 계획을 철회하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의사단체들은 이제 의료계에 대한 민심이 어떠한지 냉정한 눈으로 직시해야 한다. 의사단체들이 앞으로도 환자의 생명과 안전을 볼모로 한 집단행동을 계속한다면 국민여론은 완전히 등을 돌릴 것이 명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