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해오름 동맹, 지역 균형발전·경제 활성화 계기로

2024-06-11     경상일보

해오름동맹을 결성한 울산과 경주·포항이 오는 7월부터 상설 협력기구를 구성해 도시발전을 위한 핵심 사업추진을 본격화한다. 행정협의체 단계에서 사실상 경제동맹 관계로 격상해 공동 발전을 도모해 나가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해오름동맹 3개 도시의 구심점이 될 협력기구가 가동되면 공동 발전을 위한 핵심사업도 본 궤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김두겸 울산시장과 이강덕 포항시장, 주낙영 경주시장은 10일 울산 동구에서 ‘동남권 해오름동맹 상생협의회 상반기 정기회’를 열고 해오름동맹 도시 발전 시행 계획을 토대로 3대 분야, 10개 핵심 사업을 추진하기로 확정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단일 경제권으로 성장하는 ‘친환경 첨단산업지대’ 구축, 강·산·바다를 연계하는 ‘세계적인 문화관광권’ 조성, 동일 생활권으로 연결되는 ‘초광역 교통망’ 구축이 목표다. 이를 위해 7월부터 ‘해오름동맹 광역사무국 추진단’을 가동한다

해오름동맹 3개 도시가 산업과 교통, 문화·관광 산업 등 다양한 협력사업을 추진하면 지역 발전에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자원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효율성을 높여 산업의 구조 고도화와 미래 먹거리를 창출해 낼 수 있다. 권역내 교류와 협력이 활발해지면 행정구역이 가로막은 해오름권 단일 경제권 실현도 가능해 진다.

울산은 현재 부산·경남과는 ‘부울경 초광역 경제동맹’을 결성해 동북아 8대 광역 경제권 육성을 목표로 3대 분야 14개 협력사업을 추진 중이다. 미래 신성장 산업 육성, 초광역 기반 구축 등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경제성장의 축을 만들고자 하는 야심찬 구상이다.

다만, 요동치고 있는 권역별 행정통합 논의는 동맹 관계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최근 대구와 경북이 2026년 7월1일 통합 자치단체 출범에 합의했다. 정부도 통합특별법 제정 등 통합을 전폭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렇게 되면 지지부진한 부산·경남 행정통합 문제도 재개될 가능성이 높다. 어떤 형태로든 울산의 동맹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울산은 두 개의 권역별 경제동맹을 구축한 유일무이한 도시다. 해오름 동맹과 부울경 경제동맹은 도시의 미래와 발전을 위한 중요한 프로젝트다. 행정구역에 연연하지 않고 이웃과 연대와 협력을 통해 실리를 추구하겠다는 김두겸표 실용주의 경제전략이라 볼 수 있다. 김 시장의 실용주의 경제전략이 울산의 재도약과 지역 균형발전에 전기를 마련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