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솔기념관·생가 오물 불법투기로 ‘몸살’

2024-06-12     강민형 기자
국가유산인 외솔기념관과 울산시 기념물인 외솔생가가 잇딴 동물 배설물 투기와 흡연·음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시민 의식 부재 속에 관리 기관이 직접 규제할 수단이 없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외솔생가 기념터 입구에는 ‘외솔 생가·기념관 일원에 지속적인 고양이 모래(배설물) 불법 투기로 관리인과 방문객이 큰 불편을 겪는다’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안내판 내용을 입증하듯 담장과 초가집 사이, 일부 화단 등에서는 퀴퀴한 암모니아 냄새가 났다.

고양이와 개 등 동물 배설물은 물론, 담배꽁초도 곳곳에서 목격된다. 외솔기념관과 외솔생가 일원은 금연구역이다.

최근 들어서는 야간 음주 행위도 빈발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기념관 광장과 생가 곳곳에는 ‘금연구역’ ‘야간 음주 금지’ ‘반려동물 배변 수거’ 등 안내문이 붙어있지만 별 소용이 없다.

외솔생가 기념터에는 내부를 비추는 CCTV가 3대, 광장에서 외솔 생가 외부를 가리키는 CCTV 1대가 설치돼 있다. 하지만 담장과 초가집 사이, 화단 등 CCTV 각도를 벗어난 사각지대가 곳곳에 존재해 효과가 줄어든다.

김영자(56)씨는 “주민들은 기념관과 생가터 주변을 공원처럼 드나든다”며 “동물 배설물 냄새는 물론, 밤에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운 뒤 쓰레기를 그대로 두고 가 불쾌할 때가 있다”고 했다.

이는 외솔기념관과 생가 기념터 주변이 광장, 벤치 등 공원처럼 꾸며져 문화시설이라는 인식이 부재한 탓으로 풀이된다.

야간에 개장되는 기념관과 외솔한옥도서관의 주차장 상황도 비슷하다. 주차장 바닥에는 담배꽁초 여러 개가 떨어져 있는 등 무분별한 흡연 행위와 쓰레기 투기가 만연한 모습이다.

하지만 관리 시설 차원의 직접적인 규제 수단은 없다. 현실적으로 기념관이나 생가터 등 시설물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수사 요청이 어렵다. 배설물, 쓰레기 투기 등은 5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지만 외솔기념관측의 권한은 없다.

외솔기념관 관계자는 “날이 더워지며 야외 음식물, 쓰레기, 배설물 등 투기가 늘어나고 있지만 CCTV를 통해 개인을 특정하는 일이 쉽지 않아 수시로 환경 정비, 주민 계도를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며 “주민들이 지키고 유지하는 시설이 되도록 보다 적극적으로 관리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강민형기자 min007@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