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이익 지역과 함께 공유해야
울산 앞바다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개발 시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 외국계 컨설팅사는 최대 65조원의 생산유발과 27조6000억원의 부가가치 유발, 27만여명의 고용유발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추산했다. 탄소중립의 현실적 대안으로 떠오른 해상풍력단지 개발의 최적지가 울산이라는 분석을 내놓은 것이다.
탄소중립 시대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은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요청이 됐다. 지역이 가진 천혜의 바다 환경과 지역 산업여건을 결합해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한다면 울산은 또 하나의 미래 먹거리를 품에 안을 수 있다. 글로벌 ‘친환경에너지 도시’로 거듭날 수 있다.
다만, 해상풍력 개발 시 울산이 얻게 될 실질적인 ‘파이’는 면밀히 따져서 결정해야 한다. 개발사업을 거대 외국자본이 주도하고 있고, 국내 관련 기업의 기술이 부족한 현실을 감안한 실질적인 파이(개발이익)를 고려해야 한다. 울산시는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개발과 지역 산업을 연계해 상생 발전할 수 있도록 최적의 방안을 담보해야 할 것이다.
울산상의와 울산테크노파크는 13일 ‘2024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 중인 5개 민간투자 개발사는 사업 추진 현황과 전망을 소개하며 울산이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 최적지라는 점을 누차 강조했다.
삼정KPMG는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의 사회·경제적 영향평가’를 진행한 결과 엄청난 경제적 효과와 함께 지역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기업들의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다고도 했다.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명분에다 울산의 미래 산업을 위해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을 한다. 그렇지만, 쉽사리 가슴을 열 수 없는 한계도 분명히 있다.
고용노동부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풍력터빈의 블레이드, 발전기, 변환기의 국산화율은 34%에 불과하다. 기술과 가격 수준은 선진국 대비 60% 선에 머물러 있다. 이런 기술 격차로 최근에는 선진국 제품 외에 저가 중국산 제품이 국내 시장을 장악해 ‘제2의 태양광 사태’까지 우려되고 있다고 한다.
울산시는 해상풍력단지 개발 시의 이해득실을 꼼꼼히 따져 결정해야 한다. 분명한 것은 풍력단지 개발 시 최대 수혜자는 울산과 지역 구성원들이 돼야 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