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경주~울산 국도 7호선 확장은 해오름동맹 도약의 밑바탕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영남대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만성 정체 구간인 국도 7호선 경주~울산 구간을 4차로에서 6차로까지 확장하는 계획도 확실히 챙기겠다”고 밝혔다. 이날 윤 대통령이 약속한 경주~울산 국도 확장은 경주 뿐만 아니라 울산 교통난 해소에도 큰 계기가 될 것으로 보여 양 지자체 시민들의 환영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시민들의 오랜 숙원인만큼 양 단체장은 어느 때보다 신속하게 사업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울산과 경주를 잇는 국도 7호선은 ‘마의 도로’로 불릴만큼 교통체증이 심한 곳이다. 이 도로의 만성체증은 현대자동차 부품업체들이 공장부지를 찾지 못하자 울산과 경주시 경계에 위치한 외동읍 일대 산업단지로 집중적으로 몰리면서 나타났다. 현재 이 일대에는 일반산업단지 8곳이 조성됐고 자동차 부품 관련 협력업체 770여곳이 입주해 있다.
울산시가 이에 대한 대책으로 지난 2022년 2차선에 불과하던 국도 7호선 울산 북구 신답교~경주 시 경계까지 4.6km를 왕복 6차로 확장하고, 그 전해에는 우회도로인 ‘이예로’를 개통했으나 늘어나는 교통량을 감당하지는 못했다. 부산국토관리청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울산~외동 구간 통행량은 1일 6만6000대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부산국토관리청은 윤 대통령의 지시대로 내년 말 발표 예정인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2026~2030)에 경주~울산 구간(2.6㎞) 확장 사업을 포함하고 약 322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 10일 울산과 경주, 포항 등 해오름동맹 도시들은 울산 동구 HD현대건설기계 글로벌오퍼레이션센터에서 상생협의회 상반기 정기회를 개최하고, 지난해 11월의 상생협력 공동선언을 구체화하는 3대분야 10대 핵심 선도프로젝트를 선정했다. 3대 분야는 친환경 첨단산업벨트 조성, 세계적인 문화관광권 조성, 초광역 교통망 형성 등이다. 이 가운데 특히 ‘초광역 교통망 형성’ 분야의 국도 7호선 확장 및 대체도로(농소~외동) 개설, 동남권 해오름 초광역전철망 구축 등은 해오름동맹 도약의 중요한 밑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에 윤 대통령은 포항과 경주의 발전을 위해 여러가지 대형 프로젝트를 내놓았다. 그 동안 해오름동맹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온 울산은 때마침 발표된 정부의 거대 프로젝트를 잘 활용해 포항과 경주, 울산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시너지정책의 묘수를 찾아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