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형 기회발전특구 큰그림 완성
정부가 부산과 경북을 비롯한 광역시·도 8곳을 첫번째 ‘기회발전특구’로 지정한 가운데 울산시가 22조원의 기업 투자가 예상되는 기회발전특구 지정에 총력전을 펼친다.
도심융합특구 선도사업지, 법정문화도시(문화특구), 교육발전특구 시범 지역 등에 이어 기회발전특구까지 지정되면 4대 특구가 완성됨에 따라 진정한 지방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지난달 산업통상자원부에 기회발전특구 지정 신청서를 제출해 연내 지정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기회발전특구는 정부의 지방시대 4대 특구 중 하나다. 지방에 대규모 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지방 정부가 자율적으로 설계·운영하고 중앙 정부는 세제·규제 특례 등을 측면 지원하는 제도다.
이에 시는 울산형 기회발전특구를, 투자 기업은 많고 산업 시설 용지는 부족한 지역 특수성을 반영해 설계했다. 기존 산단을 활용해 재투자를 유인하고, 기업의 해외 투자 계획을 국내로 선회하도록 유도한다. 4대 핵심 전략은 △첨단 산업 성장 지원 △주력 산업 대전환 △수출 고도화 △기업 행정 혁신 등이다.
시는 이차전지 산업 육성, 대·중·소기업 연관 산업 상생 발전, 투자와 수출 촉진을 위한 기업 지원 체계 강화, 글로벌 기업 국내 재투자 지원 등에 나선다.
이를 통해 시는 수출 1500억달러, 민간투자 22조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울산형 기회발전특구에는 자동차, 조선, 건설기계, 비철금속, 이차전지, 에너지 등 기업 13곳이 참여해 총 22조7000억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특구 전체 면적은 449만㎡다.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 선도지구(261만㎡·8조5000억원·5개 기업) △주력 산업 첨단화 지구(155만㎡·11조4000억원·4개 기업) △친환경 에너지 산업 지구(33만㎡·2조8000억원·4개 기업) 등 3개 지구로 설계됐다.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 선도지구는 이차전지 특화단지를 신속하게 조성해 국내 유일 이차전지 전주기 공급망을 조성한다. 무탄소 시대 대비 에너지 믹스(MIX) 전환 및 에너지 자립화에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에너지 기반 주력 산업 대전환과 신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산업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력 산업 첨단화 지구는 자동차, 화학, 에너지, 조선, 기계, 비철금속 등 주력산업 첨단화와 사업 다각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전후방 산업을 포함한 연계 산업군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수직 계열화된 산업간의 동반 성장으로 주력 산업 대전환의 전기 마련과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친환경 에너지 산업 지구는 저탄소·무탄소 에너지 공급 능력을 대규모로 확충한다. 글로벌 에너지 생산 기지인 울산에서 에너지원 전환 시대에 맞춘 스마트 친환경 에너지를 육성하고 기존 에너지원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 에너지 안보와 에너지 위기 대응력을 유지하고,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과 연계해 수도권 내의 에너지 다소비 기업들의 울산 유치를 위한 토대를 마련해 나간다.
시는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면 투자 기업 직접 고용 5000명 이상, 생산 유발 23조4736억원, 취업 유발 12만6717명, 부가가치 유발 9조6890억원, 소득 유발 9조9501억원 등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세계적 기업들이 산업수도 울산에 대한민국 경제 재도약을 위한 대규모 투자를 결정한 만큼 울산형 기회발전특구 지정으로 지방 투자 기업에 화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는 20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포항 블루밸리산단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에서 제9차 회의를 열고 경북, 전남, 전북, 대구, 대전, 경남, 부산, 제주 등 8곳을 첫번째 기회발전특구로 지정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