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대구에 안동댐물 공급안 사실상 수용, 울산 운문댐 식수 확보戰 본격화
최근 정부가 대구시에서 추진 중인 낙동강 상류 취수원 다변화 방안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낙동강 통합 물 관리 방안의 한 축인 대구시의 이탈이 점쳐지면서, 낙동강 수계 지자체의 식수 확보 전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대구시가 안동댐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게 된다면 울산시의 운문댐 수계 연결 가능성이 높아질 수도 있지만, 아직 울산은 운문댐 물 공급량과 시기를 확정받지 못한 만큼 대구와 별개로 울산만의 논리를 펼쳐 맑은물 확보 전쟁에 뛰어든다는 계획이다.
25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최근 환경부가 안동댐 직·하류 물을 끌어다 대구에 공급하는 대구시 취수원 다변화 사업을 사실상 수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는 지난해 11월 대구시가 취수원을 낙동강 문산·매곡에서 안동댐 직·하류 600~700m 지점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건의한 데 대한 검증 용역을 진행했고, 안동댐 변경 방안을 수용한 것이다. 다만 대구시가 제시한 하루 평균 취수량(63만t) 보다는 적은 최대 46만t이 적절하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어쨌든 환경부가 대구시의 수정된 식수원 정책을 용인했다는 데 방점이 찍힌다.
그동안 환경부가 대구의 맑은물 하이웨이에 대한 용역 결과에 따라 ‘운문댐 물의 울산 공급(안)’을 확정 짓겠다고 밝혀온 만큼 이제 울산의 시간이 돌아왔다. 대구시가 안동댐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게 된다면 울산의 운문댐 수계 연결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동안 시는 환경부를 상대로 운문댐 물(8.9만t/일) 공급 확정 및 도수관로 사업 조속 추진을 지속적으로 건의해왔다. 반구대암각화 보존으로 인한 사연댐 담수량 감소가 예상되는 만큼 물관리위원회의 의결 사항인 운문댐 물 공급을 확정해 달라는 것이다.
앞서 2022년 환경부가 고시한 상수도 분야 최상위 행정계획인 ‘국가수도기본계획’에는 ‘운문댐을 활용해 반구대암각화를 보호하기 위한 물을 울산시에 공급’이라고 명시했지만, 운문댐 물을 언제부터, 얼마나 공급할 것인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처럼 환경부는 운문댐 물의 울산 공급을 위한 절차가 중단된 상태에서 최근 암각화 보호를 위해 사연댐 수위 조절과 수문 설치를 본격화했다. 수문이 설치되면 울산지역 식수 공급량 4.9만t(일)이 감소될 전망이다.
특히 환경부가 8월 국가수도기본계획 변경안을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 상정할 수도 있어 울산을 비롯한 낙동강 수계 일부 지자체들의 마음은 더욱 조급해지고 있다.
반구대암각화를 보호하기 위해 맑은 물을 포기한 울산은 이를 대체할 식수원 공급을 확답받지 못하고 있는 만큼 대구 등과는 별개로 울산만의 논리를 펼칠 전망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대구시가 안동댐 물을 공급받게 되면 울산시의 운문댐 확보가 좀 더 수월해질 수 있지만, 대구도 기득 수리권을 쉽게 포기하진 않을 것”이라면서 “문화재 보호를 위해 일정 부분 식수를 포기했고, 앞서 국가수도기본계획에서도 공급을 약속 받았던 만큼 울산의 시급성·당위성을 명확하게 설계해 환경부를 설득하는 등 맑은 물 확보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울산시는 운문댐 물 공급과 상관없이 자체 상수원을 확보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연말까지 ‘울산시 맑은 물 확보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며, 여기에는 기존 댐 저수량 확충, 해수 담수화, 소규모 댐 개발 등 상수원 확보를 위한 방안이 담긴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