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 행정통합 급물살…울산은 마이웨이

2024-06-27     석현주 기자
부산·경남, 대구·경북 등 울산 인근 도시들의 행정 통합이 가시화됐음에도, 울산시정의 기조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는 행정 통합보다 부울경과 해오름동맹을 산업벨트로 묶어 ‘대한민국 산업수도권’으로 육성해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26일 울산시의 한 고위 공무원은 부울경 행정 통합에 대해 “행정 통합 대신 협력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최근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를 가진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부산·경남 행정 통합을 추진한 뒤 최종적으로는 울산과도 통합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부산·경남 행정 통합 논의는 2022년 부울경 특별연합 출범이 무산된 뒤 박 지사의 제안으로 지난해부터 다시 시작됐다. 박 지사는 두 지자체의 힘만으로는 통합 효과를 높이기 어렵다며 울산과의 통합도 필요하다는 입장을 이날 밝혔다. 박 지사는 “경남·부산뿐 아니라 울산도 마찬가지로 어려운 상황이기에 수도권 일극 체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세 지자체가 통합해 힘을 합쳐야 한다”고 말했다. 울산은 1995년 경남에서 분리돼 광역시로 승격했다.

박형준 부산시장 역시 이에 공감했고, 지난 17일 두 지자체는 행정 통합을 비롯한 지역 공동 현안에 대해 논의한 뒤 ‘미래 도약과 상생 발전을 위한 공동합의문’을 채택했다.

부산과 경남 두 지자체 모두 행정 통합에 대한 의지가 강한 만큼 부울경 메가시티 추진 때보다는 전망이 밝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구·경북 행정 통합 움직임 역시 부산·경남 행정 통합 추진 속도를 높이는 요인이 됐다.

통합 움직임을 보이는 인근 지자체들은 울산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 주변 자치단체들의 행정 통합이 추진되고 있어 이를 지켜보고 있지만 큰 입장 변화는 없는 상황”이라면서 “울산·경주·포항 등 해오름동맹과 부산·경남을 잇는 산업벨트를 조성할 수 있도록 인근 지자체들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는 이날 경남도청에서 열린 ‘부울경정책협의회 제4차 조정회의’에 참석해 올해 하반기 주요 업무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회의는 부울경 3개 시·도 기획조정실장이 참석한 가운데 △부울경 핵심 프로젝트 추진상황 보고 △부울경정책협의회 개최 계획(안) △부울경 협력사업 국비확보 방안 심의 △하반기 주요 업무계획 보고 △기타 토의 순으로 진행됐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 하반기 공동 협력 사업의 국비 확보를 위한 국비 대응단 운영 등 경제동맹 출범 2년차를 맞아 실절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