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의회 파행에 국힘 컨트롤타워 부재 비판
2024-06-28 김두수 기자
4·10 총선에서 참패한 국민의힘이 22대 국회 108석의 여소야대 정국에서도 여전히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울산시당(위원장 김상욱)을 중심으로 한 지역 여권조차 컨트롤 타워가 부재하다는 비판여론이 들끓고 있다.
지역 여권에 대한 이러한 싸늘한 여론은 최근 울산시의회 의장 선출을 둘러싸고 원내 22명 중 20명을 차지한 당소속 시의원들을 대상으로 갈등 조정 역할은커녕, 오히려 지역구별 이기주의로 전락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풀뿌리 시의회는 시민의 대의 기관으로 이른바 ‘작은 국회’라고 할 만큼 시민들에겐 중요한 의결 기관이다. 그럼에도 지역 여권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의회 지도부 선출 과정이 좌지우지되면서 지방의회의 장기 파행이 우려되고 있다. 더욱이 22대 국회 원구성을 둘러싸고 여야가 극한 대치를 이어오다 가까스로 정상화 기미를 보이는 가운데, 시의회마저 파행이 장기화될 경우 정치권의 풀뿌리 지방의회 개입에 대한 비판 여론은 더욱 고조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때문에 지역 여권 국회의원들이 적극 조정에 나서 정상화에 힘을 보태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지역여권 좌장 김기현 역할론 기대
지역 여권의 실질적 좌장은 5선 김기현(남구을) 전 대표다. 2선 박성민(중구)·서범수(울주군) 의원, 시당위원장인 초선 김상욱(남구갑) 의원과 상시적 대화채널이 열려 있는 상황이다. 여기다 민선 8기 김두겸 시장에 이르기까지 지역 당정의 ‘화합적 신뢰도’는 22대 국회 출범 직후부터 한층 강화된 상황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당소속 시의원들의 심각한 갈등을 둘러싼 비판여론에서 집행부인 같은당 김두겸 시정부도 자유롭지 않은 게 현실이다. 시정부와 시의회는 견제와 감시 관계이긴 하지만 울산발전을 위한 목적은 같다. 때문에 시의회 지도부 선출을 둘러싼 갈등이 증폭될 경우 여권 내부 균열은 물론 여권 전체에 미치는 악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시당위원장인 김상욱 의원이 중심을 잡고 방향을 설정해야 하는 현실적 책임도 있다. 하지만 김 시당위원장이 초선으로 다선의원들을 리드하는 건 다소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는 한계도 없지 않다.
이러한 현실에서 김 대표 중심으로 긴급 회동을 갖고 조속히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상황에 따라선 같은당 소속 김 시장을 비롯해 시의원들과의 확대회의도 검토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시의회 장기파행 여권 정치적 부담
시의회가 장기 파행시엔 절대다수 의석을 차지한 국민의힘이 정치적으로 큰 부담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지역 여권에 대한 책임론이 전방위로 확산되면서 여의도 정치권에서까지도 지역 의원들의 한계점을 노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예사롭지 않다. 해법의 ‘골든타임’을 잃게 되면 여론은 걷잡을 수 없을 만큼 악화되면서 오는 2026년 6월 지방선거까지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김두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