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탄소중립·ESG경영 지자체 지원 절실”

2024-07-03     서정혜 기자
“RE100 실천,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시행 등 복잡하고 어려워진 경영 여건을 중소기업이 감당하기 쉽지 않습니다. 인프라가 열악한 중소기업의 탄소중립·ESG 경영 실천을 위해서는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절실합니다.”

울산시는 2일 남구 두왕동 울산테크노산단 내 울산과학기술원(UNIST) 산학융합캠퍼스에서 ‘울산 민생경제 활력 회복’을 주제로 ‘중소기업인과 함께하는 도시락 토론회’(브라운 백 미팅)을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두겸 울산시장을 비롯해 이윤철 울산상공회의소 회장, 안효대 경제부시장, 김철준 울산경제일자리진흥원장, 중소기업 유관 단체장과 기업 대표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간담회는 점심을 곁들이며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지역 중소기업들이 애로와 건의를 전달하고 청취하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이차전지 관련 기업이 다수 있는 길천산업단지 입주기업들은 ‘이차전지 특구’ 지정을 요청했다.

또 산단이 울산 도심과 거리가 먼 만큼 근로자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산단 내 어린이집 조성도 건의했다.

이세영 린노알미늄 대표는 “공단 고용률 제고를 위해 산단 내 어린이집 조성을 추진했으나 중소기업이 관련 비용을 내기에는 부담이 적지 않다”며 “출산율과 고용률 제고 측면에서 지자체 차원에서 방안을 검토해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한 창업주에 이어 가업승계를 앞둔 2세 경영인들이 안정적인 가업승계를 위한 상속세 현실화 등도 제언했다.

원호준 정원기계 대표는 “2세 경영인들은 가업승계에 대한 고민을 큰 숙제로 안고 있다”며 “엄두조차 못내는 가업승계 기업들을 위해 개선된 상속세 제도가 검토되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이에 김두겸 시장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도시 기반이 탄탄해지려면 기업이 들어와야 한다”며 “일자리를 찾아 젊은이들이 수도권으로 몰리는 상황에서 수도권 일극 체제를 깨려면 수도권과의 거리에 따라 상속세 비율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이 밖에도 중소기업 근로자 근속을 위한 지원방안, 금융지원 확대, 기업간 정기적인 네트워크 마련 등도 건의됐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에 뿌리내리고 탄탄하게 경제를 이끌어 온 중소기업들이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지역 발전과 현안 해결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중소기업이 울산의 역동 경제를 구현하는 핵심 축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시는 이날 청취한 애로·건의사항을 관계기관·부처와 협의해 향후 정책 및 사업 추진 때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날 간담회 부대행사로 울산테크노산단 내 울산산학융합원 야외에서 ‘중소기업 여~유(U)데이’ 일환으로 런치 콘서트를 열고 중소기업 근로자들이 여가를 보낼 수 있는 시간도 마련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