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문화예술계 기반이 무너진다]관련 예산 늘리고 신인 진입장벽 낮춰야

2024-07-12     권지혜 기자

무너지는 울산의 문화예술계 기반을 일으키기 위해선 문화예술 인력을 꾸준히 양성해야하나, 현재 울산은 문화예술 인력을 양성하기에는 척박한 환경이다. 지역의 문화예술인들은 문화도시 울산이 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 부문의 예산을 늘리는 등 지원금을 현실화하고 신규 문화예술인의 진입장벽을 낮춰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말한다. 또 문화예술 인프라를 확대하고 문화예술인의 지위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조례 제정 등도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문화예술 예산 등 현실화 필요

울산의 문화예술 부문 예산은 본예산의 1% 대에 불과할 정도로 적다. 이에 문화예술인들에게 돌아가는 지원금도 들인 시간과 노력에 비해 너무 적다는 평가가 많다.

더 큰 문제는 물가가 오르면서 공연과 전시를 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지만 문화예술 지원금은 10~20년 전과 크게 달라진게 없다는 것이다.

한 문화예술인은 “말만 문화도시 울산이지 실상은 전혀 문화도시가 아니다. 다수의 문화예술인들이 당장의 생계를 유지하기도 힘들다”며 “문화도시 울산이 되기 위해선 문화예술 부문의 예산을 확대하는 등 지원금의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다른 문화예술인도 “문화예술인들이 자체적으로 공연 및 전시를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다보니 지자체에서 나오는 지원금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데 지원금이 터무니 없이 적다”며 “물가는 오르는데 지원금은 적다보니 갈수록 행사의 퀄리티가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규 문예인 진입장벽 낮춰야

신규 문화예술인들에게 울산 문화예술계의 진입장벽은 너무 높다. 공모사업에 지원하려면 최소 2~3년의 경력이 있어야 지원 가능하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울산의 문화예술계가 고령화되고 있는 상황에 신규 문화예술인에 대한 진입장벽마저 높아 젊은 문화예술인들은 보다 나은 환경을 찾아 울산을 떠나고 있다.

울산에서 활동하는 청년 문화예술인 A씨는 “젊은 문화예술인이 많아져야 다양하고 새로운 것들이 많이 생겨난다. 신규 문화예술인에 대한 텃세가 너무 심하다보니 울산의 문화예술계가 늘 제자리걸음일 수밖에 없다”며 “최근 생겨나는 신규 문화예술에 관한 지원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다른 문화예술인은 “아직 기반이 안 갖춰진 젊은 문화예술인들의 상황은 더 열악하다”며 “젊은 문화예술인들이 도심에서 적은 돈으로 공연할 수 있도록 시설을 확충하고 예산을 지원하는 등 인프라를 확대하는 동시에 시민들이 공연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홍보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문예인 지위·권리 보장 조례도

인기 있는 소수의 문화예술인을 제외한 나머지 문화예술인들은 을의 입장에 놓일 수밖에 없다. 이에 불이익을 당해도 하소연하지 못하고 고스란히 피해를 떠안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코로나 시기에는 공연과 행사가 갑자기 취소되도 위약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울산시는 지난 2021년 7월8일부터 ‘울산시 예술인 복지 증진에 관한 조례’를 시행하고 있지만 많은 문화예술인들은 조례가 존재하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다. 또 조례가 너무 포괄적이어서 울산의 문화예술계 상황에 맞는 실질적인 조례가 제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울산민예총는 울산 문화예술인의 지위와 권리의 보장에 관한 조례 제정을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김교학 울산민예총 회장은 “울산의 문화예술인들은 정치적 감시와 경제적 빈곤 상태에 놓여있으며 이러한 현실로 창작 활동을 지속할 수 없는 위기에 처하곤 한다”며 “그 어떤 경우에도 창작을 멈추지 않도록 지위와 권리를 보장하는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이 같은 논의를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