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발적 실직자, 5개월 연속 증가

2024-07-19     전상헌 기자
직장 폐업이나 정리해고, 사업 부진 등을 이유로 일자리를 잃은 ‘비자발적 실직자’가 지난달 기준 123만7000명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비자발적 실직 역시 빠른 속도로 확대되며, 고용침체가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이 입법조사처와 통계청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비자발적 실직자는 123만7000명을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17만9000명(16.9%) 증가했다.

비자발적 실직자란 ‘직장의 휴업·폐업’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 ‘임시적·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 등 노동 시장적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사람을 의미한다. 가사, 육아, 심신장애, 정년퇴직, 급여 불만족 등 자발적 이유로 일을 그만둔 사람은 포함되지 않는다.

비자발적 실직자는 올해 1월 2.3% 감소한 이후 2월(7만명·4.3%) 증가로 돌아섰으며 3월 7만6000명(5.9%), 4월 8만2000명(6.9%), 5월 15만8000명(14.7%), 6월 17만9000명(16.9%) 등 5개월 연속 늘어나고, 증가 폭도 계속 확대되고 있다.

15~29세 청년층 비자발적 실직자도 22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4000명(17.8%) 늘었다. 3월(2000명·1.1%), 4월(1만7000명·8.2%), 5월(3만2000명·16.5%)에 이어 4개월 연속 증가 폭이 확대되는 흐름이다.

이전 직장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43.4%)과 건설업(34.1%), 정보통신업(42.3%) 등 주요 산업 대부분에서 비자발적 실직자가 지난해보다 늘었다.

내수의 영향을 받는 도매 및 소매업(33.7%), 숙박 및 음식점업(24.4%)에서도 비자발적 실직자가 증가했다.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의 비자발적 실직자도 21.7% 늘었다. 이는 연구개발(R&D) 예산 삭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황정아 의원은 “정부는 경기가 회복세라며 자화자찬하지만, 실제 민생경제는 악화일로”라며 “추경이라도 편성해 비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상헌기자 honey@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