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아파트 전세가율 73.9%…전국평균 웃돌아

2024-07-22     서정혜 기자
최근 울산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이 약보합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전셋값이 지속해 오르면서 전세가율이 전국 평균을 훌쩍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부동산원 ‘임대차 사이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울산지역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세보증금 비율)은 73.9%로 전국 평균(68.0%)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군별로는 신규 입주 물량이 많았던 남구와 중구가 각각 72.0%, 73.9%로 비교적 낮았고, 동구 79.1%, 울주군 78.2%로 80%에 육박했다. 북구는 75.0%를 기록했다.

부동산원이 임대차 사이렌을 통해 공개하는 전세가율은 매매·전세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기준달의 최근 3개월 전세가율을 산정해 공개한다. 전세가율이 높아질수록 전세보증금 미반환 피해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울산의 아파트 전세가율은 1년 전과 비교해도 올랐다. 지난해 6월 기준 울산의 아파트 전세가율은 69.9%였다. 중구가 69.8%였고, 남구 66.9%, 동구 70.6%, 북구 68.9%, 울주군 76.5%였다.

이같은 전세가율 오름세는 최근 매매가가 정체된 가운데 전셋값이 지속 오름세를 나타낸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최근 울산의 아파트 매매가가 9주째 0.01% 하락 또는 보합세를 기록한 가운데 전셋값은 지속 오름세를 기록해 올들어 7월 둘째주까지 누적 상승률이 0.88%에 달한다. 울산의 전셋값은 비수도권 광역시 가운데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전세가율이 크게 오르면서 울산지역 보증사고율도 1년 새 크게 늘었다. 지난해 6월 기준 울산지역 보증사고율은 11건에 불과했지만, 올해 6월에는 48건으로 네배 넘게 늘었다. 사고금액도 지난해 26억2320만원이었지만, 올해 95억2500만원에 달한다.

이처럼 전세가율이 크게 오르면서 북구와 동구 등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에서 가격이 비교적 낮은 구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갭투자도 성행하고 있다.

지난 1월 북구 천곡동 쌍용아진그린타운 4차 아파트(전용 59㎡)는 1억3500만원에 매매계약 체결 이후, 1억3000만원에 전세 세입자를 받았다. 북구 매곡동 매곡현대아파트(전용 49㎡)도 지난 1월 9000만원에 매매계약 후 8000만원에 전세계약을 체결했다.

동구에서는 매매가와 전셋값이 같거나 전셋값이 매매가보다 1000만원가량 높은 마이너스 갭 거래도 등장했다. 동구 서부동 서부현대패밀리아파트(전용 59㎡)는 지난 2월 8800만원에 매매계약 체결 후 1억원에 전세 계약을 했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매매가가 정체한 상황에서 전셋값이 계속 오르면 보증금 미반환에 대한 위험도 높아질 수 있다”며 “이 때문에 보증금 전세 수요 일부가 매매로 돌아서는 등 전셋값 상승이 매매가를 끌어올리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