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북항 LNG 터미널 공사비 급증…참여업체 비상

2024-07-25     석현주 기자

코로나 사태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울산 북항 LNG 터미널 사업’의 공사비가 급증한 가운데 거액의 초과 공사비를 떠안게 된 울산 지역 중소 플랜트건설업체들이 도산 위기에 몰리는 등 직격탄을 맞았다. 이들은 원청과 발주사를 대상으로 상생 차원의 공사비 보전을 요청했다.

북항 LNG터미널 공사에 참여한 울산 지역 플랜트건설업체 등 협력업체 13곳은 24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업 발주자와 원청사는 공사비를 실질적으로 보전해 협력업체 경영 위기와 파산을 막아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코리아에너지터미널(KET)의 울산 북항 터미널 공사에 참여한 협력업체다. 한국석유공사와 SK가스가 각각 52.4%, 47.6%를 출자해 KET 사업을 발주했고, 대우건설과 SK에코플랜트가 4700억원에 사업을 도급받았다.

지난 2020년 6월 착공한 사업은 올해 6월 준공돼 상업 운전을 앞두고 있다.

울산 북항 LNG터미널공사는 발전소 연료로 쓰이는 액화천연가스(LNG) 등을 하역, 저장하는 국가 기간 시설이다.

공사 참여 업체들은 공사 계약 당시 산정한 금액보다 더 많은 공사비가 집행됐다며 발주사와 원청사에 공사 비용 보전을 요구했다.

이들 업체는 업체당 최대 80억원까지 총 550억원의 공사비가 추가로 투입됐다고 주장했다. 나머지 타 지역 업체까지 합치면 23개 협력업체의 총 손실 비용은 1000억원 대에 이른다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업체들은 예상과 다른 공사 현장 여건에 따른 토목공사 비용 증가, 코로나 사태에 따른 작업 차질, 건설노조 파업에 따른 레미콘 공급 중단,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인한 자재비 상승, 대통령 후보 등 잦은 외부 인사 방문에 따른 공사 중단 등을 비용 초과 원인으로 꼽았다.

이들은 계약 때와 다른 특수한 상황이 이어지면서 공사비가 과다 투입돼 재무 구조가 악화된 업체 몇 곳은 이미 부도를 내거나 워크아웃에 들어갔고, 일부는 공사비 보전을 요구하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한 상태라고 밝혔다.

한 업체 관계자는 “예측 불가능한 이유로 공사 비용이 늘어난 가운데 최선의 노력으로 준공했지만, 현실에 마주한 것은 부도 위기”라며 “원청사는 물론이고 발주처인 한국석유공사와 SK가스도 상생의 마음으로 과다 투입한 공사비를 보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