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야댐 전기추진 행정지도선 도입 지연

2024-07-31     석현주 기자

울산시가 식수원인 회야댐 관리를 위해 전기 추진 행정지도선을 도입할 예정이었지만, 입찰 업체의 공정 부실로 무산됐다. 시는 서울보증보험의 절차에 따라 선급금을 회수하고, 내년에 다시 사업을 추진하기로 해 지연이 불가피하게 됐다.

울산시상수도사업본부는 지난 26일 선박 건조업체 A사와 체결했던 ‘회야댐 행정지도선 건조 및 충전설비 제작·설치 사업’에 대한 계약을 해지했다고 30일 밝혔다.

상수도사업본부는 지난해 12월 노후된 회야댐 행정지도선을 친환경 선박으로 교체하기 위해 전라도에 본사를 둔 A사와 계약을 맺었다. 회야정수사업소는 청소선 2대와 행정지도선 1대 등 3대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다. 모두 휘발유를 원료로 하는 선박이다.

현재 사용 중인 행정지도선은 2006년부터 사용된 것으로 내년이면 20년 사용연수를 채우게 된다. 해당 행정선은 길이 12m, 승선 인원 8명으로 소형으로 분류되고, 유도선 면허에 해당되지 않아 선박 관련법에 사용 기한이 별도로 명시돼 있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선박 사용 기한(25년)을 감안하면 선박 교체 시점이 다가왔다. 특히 회야댐은 울산 시민들의 식수 전용댐인 만큼 보다 양질의 수질 관리를 위해 전기 추진선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휘발유 선박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상수원 오염이 발생하기 때문이었다.

전기 선박 2척을 건조하는 총 사업비는 7억2000만원으로, 시는 업체에 5억원을 선금으로 지급했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늦어도 올해 하반기에는 건조된 선박 2척이 울산으로 인도돼야 하지만, 공정 부진으로 사업에 진척을 보이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계약 해지의 보다 직접적인 사유는 업체가 선금 보증기간 연장 의무를 위반했기 때문이다. 보증보험 만료 기한이 다가왔지만, 업체 사정으로 연장하지 않았다.

상수도사업본부는 보험 없이 사업을 지속할 경우 선금 5억원에 대한 위험 부담을 떠안게 되는 만큼 계약을 해지하기로 했다. 서울보증보험을 통해 회수 절차에 들어가면 선급금 회수는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울산시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선급금이 회수되는대로 사업을 재추진하겠다”며 “시민의 식수권과 직결되는 깨끗하고 안전한 상수도 관리를 위해 보다 면밀한 업체 검증을 거쳐 친환경 행정지도선을 건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