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 위해 일자리 찾아 1020 여성들 탈울산
2024-08-02 서정혜 기자
1일 동남지방통계청은 ‘2024년 2분기 동남권 인구이동통계’를 발표했다.
올해 2분기 울산에서는 893명이 순유출했다. 순유출 규모는 지난해 같은기간(1632명)보다 739명 감소했다. 2분기 울산의 인구 순이동률은 -0.3%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3%p 줄었다.
성별로는 여자의 순유출률(-0.4%)이 남자(-0.2%)보다 두배 높았다. 연령별로는 20대의 순유출률이 -1.3%로 가장 높았고, 10대가 -0.7%를 기록했다.
20대 가운데서도 20~24세 순유출률은 -2.6%를 나타냈는데, 남자는 20대 평균인 -1.3%였지만, 여자는 -4.4%에 달했다. 15~19세 여자 순유출률도 -1.6%로 10대 전체 순유출률의 두배가 넘었다. 30대에서도 남·녀 전체 순이동률은 0.2%였지만, 30~34세 여성의 순유출률은 -0.3%를 기록했다.
울산 여자 인구는 35~39세를 제외한 전 연령에서 순유출됐다. 울산의 20~39세 청년 남성의 순유출률은 -0.2%에 머물렀지만, 여자의 순유출률이 -1.0%를 기록해 청년층 전체 순유출률은 -0.5%를 나타냈다.
지난 2분기 울산의 전연령 전출지 1~3위는 경기(-429명), 서울(-282명), 경북(-257명)이었다.
이 중 청년층 3대 전출지는 부산(21.7%)·경북(15.1%)·서울(14.8%) 순이었고, 전입지는 부산(24.2%)·경남(16.5%)·경북(14.0%) 순이었다.
울산의 중·장년층은 울산을 떠나 경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울산의 전출자 가운데 중장년층의 20.2%, 노년층의 22.6%가 경북으로 이동했다. 동남권 내에서는 울산에서 경남으로 1402명, 부산으로 1971명 유출됐고, 울산으로는 경남에서 1584명, 부산에서 1954명 유입돼 총 165명이 순유입됐다. 울산으로 순유입이 발생한 지역은 경남(182명)·강원(43명)·광주(38명)였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