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가팔라진 광역시 소멸 위험, 생활인구 확보로 타개하자
‘산업수도’ 울산광역시의 인구 110만명 선이 무너졌다. 2015년 12월 120만명을 돌파했던 울산의 주민등록인구가 10년 만에 다시 11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지역 성장과 더불어 가파르게 치솟던 울산의 인구가 20년도 채 안 돼 정점을 찍고 2016년 이전 수준으로 회귀한 것이다.
저출산·고령화에 청년층의 유출 현상까지 심화하면서 광역시 소멸의 초시계가 빨라지고 있다. 가파른 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세는 생산·소비·산업·노동 등 지역 경제 전반이 위축되는 슈링코노믹스(Shrinkonomics·수축+경제)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하루빨리 인구감소-지역 경제 위축-인구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사슬을 끊어내야 한다.
울산시와 구·군은 인구·청년·복지·문화·교통·주택 등 도시 발전정책을 재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도시의 미래를 걸고 청년과 여성 친화적인 일자리 기반 확보에 나서야 한다. 또 외국인, 관광객, 유동인구 등을 포함한 생활인구 확보 전략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울산시의 소멸위험지수는 0.636으로, 특·광역시 중 부산, 대구에 이어 세번째로 높았다, 울산은 소멸위험지역에 가까워지는 ‘소멸주의’ 도시로 분류됐다. ‘소멸위험지역’은 20~39세 여성 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 수로 나눈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인 도시를 말한다.
울산은 이번 분석에서 5개 구·군 중 절반인 동구와 울주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울산의 소멸위기가 눈 앞으로 다가왔다는 위험신호다.
울산의 소멸위기는 주력산업의 성장둔화와 이로 인한 일자리 감소, 여성, 청년층 인구의 유출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최근 3년간(2021~2023년) 울산의 순유출인구 3만명 중 56%가 청년층일 정도로 청년층 문제가 심각하다. 저출산도 위협 요소다. 울산의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81명에서 올해는 0.7명선 사수도 위태로운 지경이다.
물론 저출산과 고령화는 피할 수 없는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그렇다하더라도 지역 맞춤형 정책을 추진해 이런 흐름을 늦추거나 반전시켜야 한다. 모든 발전 정책을 원점에서 재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단순히 인구를 늘리는 것을 넘어,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지자체, 기업, 시민단체 등 다양한 주체 간 협력을 통해 맞춤형 광역시 사수전략이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