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인구절벽, 이제는 마지막 골든타임]이대로는 10년내 100만명선도 위태
대한민국 산업수도이자 젊은 도시 울산에 저출산, 청년인구 유출, 고령화 등 인구 위기가 쓰나미로 몰려왔다. 위기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다.
117만명을 웃돌았던 인구가 110만명 아래로 주저앉았고(본보 5일자 1면), 청년인구 유출과 인구 고령화엔 가속도가 붙었다.
지역 차원의 치밀한 대응 전략이 마련돼야 할 때다. 이런 가운데 등록 외국인수는 꾸준히 늘어 지역산업과 인구의 버팀목이 되고 있다.
인구 절벽과 청년 유출, 일상화된 이민 시대를 맞아 울산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이에 맞서 돌파구를 찾아가는 현장과 실효성 있는 대응 전략 등을 짚어본다.
◇청년유출·고령화…인구 악화일로
5일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통계에 따르면 올해 7월말 기준 울산 인구(주민등록 기준)는 109만9866명으로, 110만명 아래로 내려갔다. 이는 등록외국인 인구를 제외한 수치다.
울산인구가 110만명 아래로 내려간 것은 2006년 이후 18년만에 처음이다. 울산은 2006년 인구 110만명을 넘어선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가며 2015년 11월엔 117만4051명(등록외국인 인구 제외)으로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지역 주력산업 부진 등으로 매년 1만명씩 인구가 감소하더니, 급기야 110만명선도 무너졌다. 향후 10년 내 100만명 붕괴도 예측되고 있다.
무엇보다 인구 역외 유출이 소멸을 가속화 하는 상황이다. 초저출산·고령화 속에 교육과 일자리를 찾아 울산을 떠나는 젊은층이 크게 늘면서 울산 청년인구(20~39세)는 최근 5년 새 31만명에서 25만명으로 급감했다. 이대로라면 수 년 내 20만 명대도 무너질 위기다.
청년층이 엷어지면서 고령인구 점유율은 그만큼 높아지고 있다. 울산은 2011년 고령화사회(노인인구 7.1%)에 진입한 후 11년 만에 노인 인구가 2배 이상 늘어나 2022년 고령사회가 됐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2027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2022년 1만7000명에 불과했던 등록외국인은 올해 6월 2만6000명까지 증가했다. 일자리를 찾아 울산에 온 외국인 인구가 소멸을 막아서는 버팀목인 셈이다.
◇울산시 인구 늘리기 안간힘
인구 절벽과 유출이 한계점에 달했다고 판단한 울산시는 올해 초 ‘모든 세대가 행복하고 살고 싶은 도시 울산’을 비전으로 △미래성장도시 기반 강화 △정주여건 개선 △생애전반 맞춤형 지원강화 △인구변화 선제 대응 등 4개 전략 아래 2024 울산시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했다.
울산시 인구정책 시행계획에 포함된 100개 세부과제 대부분이 민선 8기 공약 및 주요사업을 반영하고 있다. 민선 8기 정책 대부분이 인구에 방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취임 초반부터 기업 규제 완화 등 친기업 정책으로 지역 내 기업 투자유치에 박차를 가해왔다. 기업의 일자리가 늘어날 수록 정주인구도 함께 증가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이어 올해는 문화·관광산업 육성이라는 투트랙 전략을 추진 중이다. 세계적 공연장 건립과 학성공원 물길 복원, 2028 국제정원박람회 등이 대표 사업이다.
이윤형 울산연구원 연구위원은 “인구유출을 막고, 지역 내 정주인구를 늘리기 위해서는 일자리와 교육 인프라가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이에 더해 도시 구조적인 변화도 고민해야 한다”면서 “문화와 일자리, 관광, 도시인프라 등이 조화를 이뤄 상호 보완된다면 인구유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