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촌 채석장사업 설명회 주민반발로 무산
2024-08-21 정혜윤 기자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에 채석장 조성 사업이 본격화되며 20일 환경영향평가 초안 작성과 사업 주민설명회가 열렸지만, 주민들의 거센 반대로 시작도 전에 무산됐다.
이날 웅촌면 행정복지센터 대회의실에서는 시와 울주군 관계 공무원, (주)청석 대표, 대복·오복마을 주민 1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청석 토석 채취 사업 주민설명회’가 열렸다.
웅촌면 대복리 산 168일원 22만3138㎡ 일대 토석 채취 사업 시행자 청석은 앞서 시굴 조사 등을 거쳐 지난 6월 시에 환경영향평가 절차를 밟기 위한 허가 신청서를 제출하고 협의회 구성을 알렸다.
대복리 채석장은 토석 채취장 17만3874㎡, 산물 처리장 2만141㎡ 규모로 조성을 준비 중이다. 토석 채취 허가가 나면 허가일로부터 10년간 토석 채취가 진행된다.
시는 당초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지역 위원 3명을 대상으로 주민설명회를 진행하려 했지만 일대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전체 주민설명회로 변경했다.
그러나 주민설명회 시작도 전부터 지역 주민들의 사업 백지화 요구가 이어졌고 거센 반발로 설명회는 끝내 무산됐다.
주민들은 “30년 전 대복광업이 웅촌에서 토석 채취 사업을 시행하면서 날림먼지, 소음·진동 등 피해가 심각했는데 이번 사업은 앞선 사업보다 채석량도 6배가량 큰 규모다”며 “웅촌이 이제 겨우 인구 2만 명을 넘으려고 해 읍 승격을 앞두고 있는데, 시는 왜 또 채석장 설치에 힘을 실어주려 하냐”며 거세게 반대했다.
김주훈 웅촌면 동문마을 이장은 “왜 웅촌에는 끊임없이 채석장 같은 님비 시설만 밀어넣으면서 못살게 구냐. 수십 년째 인구 유입 정책은커녕 안 좋은 시설만 계속 설치하려 드는데 어느 주민이 찬성하겠냐”며 “웅촌면에서 석산 개발은 꿈도 꾸지 말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는 민간사업자가 추진하는 사업이며 석산 개발이 가능한 지역이 한정적인 만큼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사실상 울산에서 석산 개발이 가능한 곳이 범서읍과 웅촌면 밖에 없다”며 “민간에서 사업 추진 의사를 알리면 시는 절차를 밟아야 하고, 주민 반대 의사가 있어도 낙동강유역환경청에서 승인이 나면 사업은 추진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토석 채취 허가가 나게 되면 울산에서는 30년 만에 처음 신규 허가가 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울산시와 (주)청석은 오는 10월 환경영향평가서 초안 작성 후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제출, 오는 11월께 다시 주민설명회를 열고 주민 및 관계 기관의 의견수렴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