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축제 늘었지만 주민참여·방문객은 줄어

2024-08-23     석현주 기자
울산에서 이틀 이상 진행된 지역 축제 수가 지난 5년간 80%나 증가했지만 정작 지역 주민 참가율과 외부 방문객 등 실질적인 성과는 오히려 후퇴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축제를 통해 지역의 이미지를 높이고 경제 활성화를 꾀하겠다는 전략이지만, 콘텐츠 등의 한계로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면서 외면받고 있는 만큼 선택과 집중을 통해 내실을 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경제·예산 관련 민간 연구기관인 ‘나라살림연구소’는 이런 내용이 담긴 ‘지역 축제 현황 및 성과 분석에 따른 제도 개선 방향’ 보고서를 22일 발간했다.

분석 대상 지역 축제는 ‘지방 정부나 지역 단체·주민이 2일 이상 개최해 불특정 다수가 참여한 축제’(한국관광공사 기준)다.

올해 기준 울산의 지역 축제 수는 36개로, 5년 전인 2019년(20개)보다 80.0% 늘었다. 전국 지역 축제 수도 2019년 884개에서, 올해 1170개로 32.4% 증가했다.

관련 예산도 확대됐다.

나라살림연구소가 지방재정 통합 공개 시스템인 ‘지방재정365’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울산시의 ‘행사·축제 경비’는 2019년 252억원에서 올해 295억6500만원으로 13.8%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침체된 지역 경제를 축제를 통해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외부 방문객의 유입 등으로 전체 생산성 증대와 다른 지역과 차별성을 둬 문화적인 경제력까지 증가시키겠다는 전략이 담겼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성과는 미흡했다. 연구소가 통계청 조사 결과를 재구성한 결과 지역 주민의 지역 축제 참가율은 울산의 경우 2019년 42.6%에서 2023년 15.4%로 급격히 낮아졌다.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토대로 산출한 울산 지역 축제의 외부 방문객 비율은 이 기간 41.41%에서 37.1%로 4.31%p 하락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나라살림연구소측은 “이런 상황이 지속될 경우 실효적인 성과와 별개로 보조금만을 위해 운영되는 좀비 축제를 양산할 우려가 있는 만큼 타당성 있는 기준을 수립해 지역 특성화를 점진적으로 제고하도록 축제의 목적과 기능을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며 “지역 축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정량적 성과와 함께 지역 전통 보존과 같은 정성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성과 기준을 다각화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어 “지역 특성에 맞는 일원화된 축제 지표 및 계랑화된 성과를 개발해 지역 축제를 활성화해야 하는 방안과 함께 선택과 집중을 통한 내실있는 운영안이 나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