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울산’ 평균연령 43.7세
울산지역 주민등록인구가 8년 연속 감소하고, 고령화의 심화로 평균 연령이 43.7세로 올라갔다.
행정안전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2023년 12월31일 기준)를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통계연보에는 행정 안전 분야의 정책 수립·집행 및 학술연구 등에 필요한 주요 통계가 종합적으로 수록됐다.
구체적으로 정부 조직·행정관리·디지털정부·지방행정·지방재정·안전 정책·재난관리 등 8개 분야의 총 328개 통계가 실렸다. 올해는 지자체 폐쇄회로(CC)TV 통합관제센터, 고향사랑기부제,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통계도 추가됐다.
먼저 총 주민등록인구는 감소 추세지만, 1인 가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가구 수는 계속 증가했다.
지난해 울산의 주민등록인구는 110만3661명으로, 전년(111만663명)보다 0.63%(7002명) 줄었다.
울산 주민등록인구는 2015년 117만3534명에서 8년 연속 감소했고, 고령화 심화로 평균 연령은 전년(43.0세)보다 0.7세가 많은 43.7세가 됐다. 남녀 평균 연령은 남성 42.7세, 여성 44.7세로 여성이 2.0세 더 높았다.
울산의 주민등록가구는 49만690가구로, 전년(48만6143가구) 대비 0.94% 증가했다.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가 17만9471가구로, 36.6%를 차지해 1인 가구의 꾸준한 상승이 전체 가구 수를 불리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지난해 전국 주민등록인구는 5132만5329명으로, 전년(5143만9038명)보다 0.22%(11만3709명)가 줄었다. 주민등록인구는 2020년 5183만명에서 4년 연속 감소했고, 고령화 심화로 평균 연령은 전년(44.2세)보다 0.6세가 많은 44.8세가 됐다.
가장 인구가 많은 연령은 52세(1971년생·92만8584명)였다.
주민등록가구는 2391만4851가구로, 전년(2370만5814가구) 대비 0.88% 증가했다.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가 993만5600가구로 41.5%를 차지해 1인 가구의 꾸준한 상승이 전체 가구 수를 불리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1인 가구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 이상 19.7%(195만2911가구), 60대 18.4%(183만2132가구), 30대 16.9%(167만6332가구) 순이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