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구·군 재난상황실 24시간 상시운영 추진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자연재해가 잇따르면서 비상시로 운영되던 울산 5개 구·군 재난안전상황실이 속속 24시 상시 운영 체계로 전환 준비를 하고 있다.
12일 울주군에 따르면, 군은 비상시 운영인 재난안전상황실을 오는 2025년 1월 부로 상시 체계로 전환하기로 결정하고 최근 운영 규정 등을 개정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18조에 따르면 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재난 정보의 수집·전파, 상황 관리, 재난 발생 시 초동조치 및 지휘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상시 재난안전상황실을 설치·운영해야 한다.
울산시는 3명 3교대 형식으로 총 9명의 일반직 공무원이 24시간 재난안전상황실에 상주해 상시 운영하고 있다. 반면 5개 구군은 상시 재난안전상황실을 운영하는 곳이 한 곳도 없다.
주·야간을 나눠 운영하며 주간에는 관계 부서 상황실에 상주하지만 야간·휴일은 당직자가 민원과 재난안전 상황실 업무를 함께 맡았다.
상시 재난안전상황실 운영이 법적 의무였던 만큼 정부에서도 지속적으로 상시 체계 전환을 권고했지만, 현장에서는 인력 부족 등으로 난색을 표했다.
이런 와중에 최근 이상 기후로 국지성 호우 등 자연재해가 빈번해지자 재난 예·경보시설을 통한 신속한 상황 전파 및 배수문·배수장 원격 시스템 상시 모니터링 등 상황실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이에 행안부는 오는 2026년 전까지 대다수 지자체의 재난안전상황실을 상시 체계로 변경하도록 통지했고, 이에 시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5개 구군과 회의, 실태 점검 등을 거치며 상시 전환 준비를 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당초 시간선택제 임기제를 투입하는 준전담제도 검토했지만 총액인건비가 한정돼 있어 쉽지 않고 채용·퇴직 과정에서 업무 과중 우려도 있었다”며 “기존 일반직 공무원 재배치도 인력 문제로 어려웠지만, 계속된 협의 끝에 5개 구군이 내년 말까지는 전체 상시 체계로 전환토록 계획을 수립한 상태다”고 설명했다.
군은 우선 1인 1조 3교대로 안전총괄과 일반직 2명에 타부서 1명 등 총 3명을 투입해 상시 재난안전상황실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중·북구도 내년 1월께 재난안전상황실 상시 운영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준전담제가 아닌 일반직 완전 전담 방식으로 일반직 3~4명을 교대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운영 규정 개정을 준비 중이다. 남·동구도 최대한 일반직을 활용해 내년 하반기에는 완전 전담 재난안전상황실 운영이 가능토록 내부 협의가 진행 중이다.
지자체 관계자는 “아무래도 전문 인력이 24시간 상주하면 즉각적인 상황 전파로 시민들의 피해를 줄이고, 초기 대응이 신속 정확하게 이뤄질 수 있다”며 “24시 재난안전상황실을 운영하다 보면 재난 담당자들의 노하우도 계속 쌓이게 될 것이고, 돌발성 재난에도 발빠른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