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독특한 울산동구 인구구조…주민삶 반영한 새 인구정책 절실
울산 동구에 대한 인구정책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울산시 동구청이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한 ‘울산 동구 인구정책 용역’ 결과에 따르면 동구는 외국인은 급증하고 있는 반면 내국인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동구는 전형적인 기업도시로, 남성 중심의 인구구조가 눈에 띄게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인구 구조의 측면에서 각 부문별 불균형을 바로 잡지 않으면 앞으로 지역사회에 적지 않은 부작용이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 동구는 울산지역 5개 구·군 가운데서도 인구분포가 특이한 지역으로 분류된다. 동구의 인구는 지난 9월말 기준으로 15만1117명(외국인 제외)으로, 2020년 9월(15만7396명)과 비교했을 때 6200여명이 감소했다. 이같은 감소추세가 계속될 경우 동구 인구는 조만간 15만명대가 무너질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반면 이 지역의 외국인 수는 2022년 4091명에서 지난 8월 9106명으로 122.6% 급증했다. 이에 따라 동구의 총인구는 최근 16만명 대로 복귀했다.
외국인은 크게 증가하고, 내국인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이같은 인구 변화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울산지역에서 인구 정책조례가 제정되지 않은 곳은 동구가 유일하다. 인구정책 조례가 없다는 것은 주민들의 삶과 기반시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
이번 용역에서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은 동구지역의 인구정책 전략으로 △청년인구 정주성 강화 △생활인구 증대 △외국인 상생기반 구축 등 6대 항목을 제시했다. 이 중에서도 청년인구 증대와 외국인 상생기반 구축은 조선업이 집중적으로 배치돼 있는 동구에 매우 중요한 정책으로 평가된다. HD현대중공업 등 동구지역 기업체에는 청년들이 많이 생활하고 있는데, 이들이 동구를 떠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고용 유지, 지역내 정주여건 개선 등이 특히 필요하다. 또 조선업으로 유입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해서는 외국인 특화거리를 활성화하고 다문화마을 특구 등 문화·관광 공간도 대폭 확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동구는 남자들을 중심으로 사회구조가 만들어져 있는 점을 감안해 여성을 위한 특별한 배려도 있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동구청이 이번 용역 결과를 토대로 향후 5년간의 인구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겠다고 하니 다행스럽다. 동구의 독특한 인구구조와 동구 주민들의 삶이 제대로 반영된 인구정책이 하루 빨리 만들어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