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위기’ 울산 대학들도 자구책 사활
2024-10-24 이다예
23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지방 대학들은 줄어드는 학생 수와 학생들의 수도권 집중화 영향으로 존폐 위기에 처했다.
이들 대학의 위기는 사회 기반이 수도권으로 점차 집중되는 과정에서 오랜 기간 누적돼 온 게 사실이다. 어렵기는 울산도 마찬가지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울산 지역 대학들은 매해 다양한 전략을 통해 신입생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글로컬대학과 같은 대규모 국비 사업 따내기에도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이 가운데 고령화 속도가 가팔라짐에 따라 평생교육의 인기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현재 고령사회인 울산은 2027년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며 예년보다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상황이다.
앞으로 고령층의 학습 수요가 풍부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평생교육은 지역 대학들의 새로운 먹거리 사업이 될 것으로 주목된다.
이와 관련, 교육부는 30대 이상 성인의 디지털 재교육·향상 교육 강화를 골자로 하는 ‘인공지능·디지털(AID) 30+ 프로젝트(안)’를 추진한다.
특히 일반대학·전문대학 등을 대상으로 AID 선도대학 100개교를 육성, 다양하고 유연한 성인 맞춤형 AID 교육과정을 제공하겠다는 복안이다.
100개교는 AID 30+ 집중캠프 20개교, 디지털 전환 중점 전문대학 30개교, AID 묶음 강좌 20개교, 무크(MOOC) 선도대학 15개교, 매치업 5개 컨소시엄, 디지털 혁신 사이버대 10개교로 나눠 선발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또 고등교육법상 대학의 역할을 ‘평생교육 진흥’까지 확대하는 것도 추진한다. 이렇게 되면 다양한 전문 인력을 확보 중인 대학들이 지역의 평생교육 콘트롤타워가 될 수도 있다.
교육부는 선발 일정을 자율화해 성인의 대학 진입도 유도하는데, 대학들은 이를 통해 학생 유치에도 적지 않은 도움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대학들은 정부 지원을 통해 보다 탄탄한 평생교육 과정을 구축, 각종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자구책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눈치다.
울산대·울산과학대 관계자는 “정부가 대학을 중심으로 성인의 AI·디지털 역량 제고를 지원한다는 계획을 확인했다”며 “AID 선도대학 관련 공문이 내려오면 적극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