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수소도시 사업, 수소특화 도시 도약 계기 삼아야

2024-10-28     경상일보

울산시의 ‘수소 시범도시’ 조성사업이 완공됐다. 수소 생산과 이송, 활용까지 모든 과정이 한곳에서 이뤄지도록 수소 생태계를 구축한 국내 최초 수소단지다. 이로써 울산은 수소 생태계 구축의 새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사업은 울산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부생수소를 배관으로 북구 지역까지 끌어와 수소연료전지 열병합발전소를 지어 가동하고, 여기서 생산한 전기를 한전에 판매하고, 발생한 폐열은 율동지구 공동주택에 온수 및 난방으로 공급하는 사업이다. 이 공동주택은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세계 최초 탄소 중립형 수소 아파트’로 진화했다.

울산시는 지난 2019년부터 ‘2030년 세계 최고의 수소도시’ 비전 아래 수소 융복합 밸리 조성 등 10대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국내 1위 수소 생산 및 공급 인프라를 내세워 국내 최고의 ‘수소 클러스터’ 구축을 꾀하고 있다. 2029년 수소 트램 상용화, 울산 북신항 액체화물 전용부두를 기반으로 한 세계 최초 종합 수소항만 조성도 구상 중이다.

그러나 수소도시 울산에 대한 정부의 투자와 지원은 ‘푸대접’에 가깝다. 윤석열 정부의 울산 공약 ‘수소 모빌리티 클러스터 구축’ 사업은 경제성 부족을 이유로 예타의 벽을 넘지 못했고, 이미 사업이 종료된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일원에 대한 ‘글로벌 혁신특구’ 선정에서 탈락해 힘이 빠졌다.

전·후방 연계산업이 발달한 최고의 수소도시로 평가받는 울산이건만, 수소특화단지, 규제자유 특구 등 정부의 산업 기능 배분 전략에선 찬밥 신세가 계속되고 있다.

울산은 ‘산업수로’라 칭하기에 부끄러울 정도로, 석유화학 등 주력 제조업의 경쟁력이 약화돼 인구감소·지역경제 침체 등으로 소멸위기에 놓인 도시가 됐다. 울산이 이런 상황을 타개해 미래 산업도시로 나아가려면 산업 고도화와 다각화, 신산업 육성을 통한 미래 먹거리 창출 뿐이다.

수소산업은 전·후방 연계산업이 발달한 울산이 가진 특화된 경쟁력이다. 이를 잘 활용하면 울산이 꿈꾸는 수소 특화도시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다만,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우선 울산시가 정부에 요청한 수소특화단지 지정, 원전 전력 연계 청정수소 생산 실증부지 확보 관련 국비 확보가 급선무다. 정부는 ‘수소 모빌리티 클러스터 구축’이라는 대선공약을 꼭 지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