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미포산단 등 기회발전특구 지정

2024-11-07     이다예
미포국가산업단지(자료사진)

울산시가 정부의 기회발전특구 지정 명단에 이름을 올리게 되면서 세계적 첨단 산업도시 조성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시는 특구 조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11개 기업과 함께 수출 1500억달러, 민간 투자 22조원 달성에 도전한다는 계획이다.

6일 정부는 제2차 기회발전특구로 울산과 강원, 광주, 세종, 충북, 충남 등 총 6개 지방자치단체를 확정·발표했다. 울산은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 선도지구 등 420만㎡ 규모의 3개 지구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됐다. 기회발전특구는 비수도권과 수도권 일부 지역에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규제 특례, 세제·재정 지원, 근로자 거주 여건 개선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구역을 말한다.

울산 기회발전특구에는 선도 기업 11개사가 참여해 울산미포국가산단, 온산국가산단, 울산하이테크밸리 일반산단, 울산북신항 및 항만배후단지 420만㎡ 부지에 약 22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시는 대규모 투자를 통해 ‘새로 만드는 위대한 울산, 더 큰 대한민국’을 비전으로 수출 1500억달러를 달성한다는 전략이다.

울산형 기회발전특구는 △이차전지 산업 육성을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 △주력 산업 경쟁력 강화 및 대전환 △수출 고도화를 통한 무역 수지 개선 △선도 기업 투자를 통한 대·중·소기업 및 연관 산업 상생 발전 △기업 해외 투자의 국내 투자 전환 유인 △투자와 수출 촉진을 위한 기업 지원 체계 강화 △지방 주도 지역발전 전략 실행 가능성 제고 △대한민국 경제 발전을 견인한 세계적 기업의 국내 재투자 지원 등을 담고 있다.

시는 이를 위해 △첨단 산업 성장 지원 △주력 산업 대전환 △수출 고도화 △기업 행정 혁신 등 4대 핵심 전략을 추진한다.

울산형 기회발전특구는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 선도지구 △주력 산업 첨단화지구 △친환경 에너지 산업 지구 등 3개 지구로 설계됐다.

우선 5개사가 8조5000억원을 투자하는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 선도지구는 국가첨단전략산업 이차전지 특화단지를 신속하게 조성해 국내 유일의 이차전지 전주기 공급망 조성으로 에너지 공급망 안정화를 추진한다. 무탄소 시대 대비 에너지 믹스 전환과 에너지 자립화에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에너지 기반 주력 산업 대전환과 신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산업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개사가 11조원을 투자하는 주력 산업 첨단화지구는 지난 60년 동안 산업수도 울산과 대한민국의 성장을 견인한 주력 산업의 첨단화와 사업 다각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전방, 후방 산업을 포함한 연계 산업군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수직 계열화된 산업 간의 동반 성장으로 주력 산업 대전환의 전기 마련과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

4개사가 2조8000억원을 투입하는 친환경 에너지 산업 지구는 에너지 다소비 제조 산업 중심 도시인 울산의 저탄소·무탄소 에너지 공급 능력을 대규모로 확충한다.

글로벌 에너지 생산기지인 울산에서 에너지원 전환 시대에 맞춘 스마트 친환경 에너지를 육성하고 기존 에너지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 에너지 안보와 에너지 위기 대응력을 유지하고, 분산에너지특구 지정과 연계해 수도권 내 에너지 다소비 기업들의 울산 유치를 위한 토대를 마련해 나간다.

시는 기회발전특구 지정으로 투자 기업 직접 고용 5000명 이상, 생산유발 23조원, 취업유발 12만명, 부가가치유발 9조원, 소득유발 9조원 등 경제적 파급 효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 기회발전특구는 새로 산단을 조성하지 않고 기존 산단을 재활용한 모범 사례”라며 “대한민국 산업화를 이끈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결정한 만큼 우리 시도 적극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는 오는 8일 오후 3시 고려아연 온산제련소 별관 2층에서 기회발전특구 지정 기념행사를 갖고, 기회발전특구의 성공적 추진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자체·투자기업 간의 상생협력협의체를 발족할 예정이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