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두서 개발로 인구유입 필요성 이견 없어

2024-11-11     정혜윤 기자
자료이미지

울산 울주군 두서면의 인구 유입 해법으로 제시됐던 두서면 ‘거점형 공공타운하우스 조성’ 사업이 3년간 표류하다가 ‘재검토’ 결정(본보 11월8일자 5면 보도)이 나며 다시 장기 지연에 들어가는 모양새다. 이런 가운데 부동산 경기 침체와 미분양 우려, 그럼에도 임대주택 건립을 통한 인구 견인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오가며 군과 지역 주민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10일 군에 따르면, 지난 7일 진행된 울주군 지방재정투자심사에서 두서면 거점형 두서공공타운하우스 사업을 두고 심의위원들은 재검토 결정을 내렸다.

이날 심의에서 해당 사업이 원안대로 추진될 시 현실적인 두서면의 소멸 위기 해법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군이 자체 실시한 타당성 조사에서 재무·경제적 타당성이 낮다고 나와 미분양 리스크가 높은 상황이다. 실제 두서면 공공타운하우스에 수요가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일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최근 울산 KTX역세권이 도심융합특구에 지정되는 등 군 곳곳에 대규모 개발 사업들이 시행되는 시점에서 두서 지역이 상대적으로 더욱 인구 유입에 불리한 지역이 될 것이라는 데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울주군 관계자는 “지역 소멸을 막아달라는 두서면 주민들의 의견이 어느 정도 반영돼 재검토 결정이 난 것”이라며 “사업 규모를 축소하는 등 두서 지역 소멸을 막을 해법이 될 만한 방향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군의 재검토 결정을 두고 주민들의 반응은 두 가지로 나뉘는 분위기다.

사업 부지 지주들은 “반려보다 더 안 좋은 소식”이라며 이미 수년간 받은 재산권 피해가 더욱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한 것으로 파악됐다.

두서인보지구 공공타운 대책협의회 관계자는 “지자체 수용 보상을 앞둔 땅은 제대로 팔리지 않는데, 재검토로 사업 추진에 다시 수십 년을 기다려야 될 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크다”며 “이에 차라리 사업을 포기하고 재산권을 풀어달라는 목소리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두서면 전체 입장으로 볼 때는 몇 년이 걸리더라도 인구 유입 정책인 이번 사업은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고 설명했다.

실제 두서면은 울주군 전체 13개 읍면 중 지난 5월 기준 두동·두서·삼동과 함께 지방소멸지수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

지방소멸지수가 0.2 이하면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되는데, 두서면은 0.08로 삼동면(0.07) 다음으로 군에서 가장 낮은 상황이다.

두서공공타운 대책협의회 관계자는 “수백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정말 내실 있게 인구를 유입되게 하려면 규모는 원안대로 가야 한다”며 “최근 울산시에서도 청년임대주택 사업을 하던데, 중앙 정부나 시 도움을 받아서라도 인프라를 잘 갖춰 제대로 된 인구 유입 타운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울주군은 조만간 두서 주민들과 사업 방향에 대한 본격적인 협의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