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자생적 발전, 울산형 모델 구축

2024-11-11     석현주 기자
산업수도 울산이 정부의 지방 살리기 정책 일환인 4대 특구에 모두 지정되면서 정부 지방 균형 발전 정책의 핵심지역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4개 특구 지정을 받은 울산시는 주력 산업의 강점에 첨단 산업을 더해 세계적 첨단산업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 마련에 나선다. 이번 특구 지정으로 울산은 산업 구조의 첨단화뿐만 아니라 청년층의 정착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고, 수도권 일극 체제를 완화하는 중요한 모델로 다시 태어날 전망이다. 이에 본보는 4대 특구에 대한 산업 육성전략 및 개발계획 등을 살펴보고, 지역 미래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4개 특구의 연계 방안을 두 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4대 특구 지정은 수도권 쏠림 현상 완화와 지방의 자생적 발전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기회발전특구는 기업과 지자체가 주도해 상향식으로 운영되는 제도로, 세제와 규제 완화, 정주 여건 개선 등 다양한 혜택이 패키지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 ‘기업 유치→양질의 일자리 창출→청년 정착→지역 발전’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 지방의 소멸 위기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울산시의 이번 특구 지정은 지방 신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적 노력과 지원이 반영된 것이다.

시는 이번 기회발전특구를 통해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 선도지구 등 3개 지구에 걸쳐 약 22조원의 투자를 유치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 삼성SDI, S-OIL, 고려아연 등 11개 선도 기업이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온산국가산업단지, 울산하이테크밸리 일반산업단지, 울산북신항과 항만 배후 단지 등 총 420만㎡에 달하는 지역에서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예정이다. 울산시는 이로 인해 직접 고용 5000명 이상, 생산 유발 효과 23조원, 취업 유발 12만명, 부가가치 유발 9조원 등 지역 경제 전반에 걸친 긍정적 파급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시는 기존 산단을 기회발전특구로 지정한 데 이어 2차 기회발전특구 조성도 준비 중이다. 지역 내 산단을 조성할 부지가 부족한 만큼 향후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을 통해 가용부지를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이번 특구 지정을 통해 산업 전반에 걸친 첨단화를 가속하고, 친환경 에너지 산업 등 차세대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지역 경제와 청년 일자리 창출의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 선도지구는 급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을 겨냥해 현대차와 같은 대형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에 참여하는 가운데, 배터리 기술의 혁신을 이끌어가고자 한다.

도심융합특구와 교육특구, 문화특구는 각각 청년 인구 유입과 정착을 유도하고, 지역 문화의 활성화를 통해 정주 여건을 강화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는 단순한 산업 중심의 발전을 넘어 삶의 질을 높이는 전방위적 균형 발전을 목표로 한다.

특히 이번에 시가 제안한 기회발전특구의 경우 새로운 산단을 조성해 특구로 지정하는 것이 아닌, 기존 산업단지를 활용하고 기존 입주 기업의 추가 투자 유치를 이끌어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이번 특구 지정은 울산이 기존 산업단지 자원을 활용해 미래 지향적이고 지속 가능한 산업 구조로 전환하는 모범 사례다. 웅덩이에 물이 차야 옆으로 퍼져나가는 것처럼 가능성 있는 연못에 물을 채워야 할 때”라면서 “4대 특구를 바탕으로 울산의 새로운 60년을 설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울산시는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기념해 지난 8일 울주군 고려아연 별관에서 기념 행사를 개최하고,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행사는 김두겸 울산시장을 비롯해 기회발전특구 지정 기업의 대표 등 60여명이 참석해 주요 사업 경과보고와 협약 체결 순으로 진행됐다.

김두겸 시장은 “4대 특구로 모두 지정된 도시는 울산이 유일하다”며 “대한민국 산업화를 이끈 기업들이 울산에 대규모 투자를 결정한 만큼 시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