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표류중인 울산특수교육원 언제까지 미뤄지나
천창수 울산시감육감의 공약 사업 중 하나인 울산특수교육원 설립 사업이 장기 표류하고 있다. 조성 부지로 선정된 중구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가로막혀 아직 첫 삽조차 뜨지 못한 것이다. 장애와 비장애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교육환경 조성에 관한 지역 사회의 공감대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울산특수교육원 설립을 위한 교육부 2차 중앙투자심사가 두 달 앞으로 다가왔다.
울산특수교육원은 최근 교육부 1차 중앙투자심사에서 탈락한 바 있다. 울산특수교육원 설립에 관한 주민들의 공감대가 부족하다는 게 가장 큰 이유였고, 울산시의회 공유재산관리계획안 심의 문턱을 넘어서지 못한 것도 이유로 지목됐다. 시교육청 입장에서는 시간이 없다. 오는 15일까지 교육부에 2차 중앙투자심사와 관련된 서류를 다시 제출해야 한다.
시간이 촉박한데 상황은 여의치 않다. 교육부가 선결 조건으로 제시한 시의회 재심의가 이달 말께나 예정돼 있어 사실상 2차 중앙투자심사도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렇게 되면 울산특수교육원 설립은 내년으로 또 밀리게 될 가능성이 크다.
시교육청은 관련 예산을 두고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장기 표류하는 사업이다 보니 심의 과정에서 필요한 예산이 삭감되는 상황을 바라만 볼 수밖에 없는 입장인 셈이다.
중구 주민들의 ‘찬성표’를 얻는데도 힘이 부치는 실정이다. 시교육청은 주민 여론을 수렴하고자 약 8회에 걸쳐 소통의 장을 마련했지만, 접점을 찾지 못한 상태다. 일부 주민들은 울산특수교육원을 여전히 혐오시설 중 하나로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울산특수교육원은 지난해 북구 송정동 제2 고헌초 부지에 추진하려다가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올해 들어 중구 성안동 822 일원에 재추진되고 있다. 춘천, 강릉, 원주 등 동해안 지역에서는 특수교육원 유치전이 가열되는 등 최근 전국적으로 장애와 비장애 학생 모두를 위한 교육시설 구축에 힘을 쏟는 상황이다.
울산시교육청 관계자는 “시의회, 교육부, 주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해 울산 지역의 모든 학생들이 함께하는 통합교육 시스템이 안착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