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화학사고 1위 울산, 이젠 기업 스스로 재무장해야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은 4일 울산콤플렉스에서 울산 산단 내 화학사고 공동방재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에는 낙동강유역환경청과 울산 화학사고 민관공동대응협의회 대표사인 SK에너지, 울산환경기술인협회,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협의회 등이 참여했다. 업무협약 내용은 유·누출된 화학물질을 폐기 및 회수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 예방, 공동방재지원체계 구축 등이다.
울산은 전국 광역시 중 화학사고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도시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울산에서는 지난 9년(2015~2023년)간 78건의 화학 사고가 발생했다. 최근의 통계로는 2022년 36건(화재 13건, 폭발 23건), 2023년 12건(화재 7건, 폭발 5건), 2024년 10월 기준 14건(화재 12건, 폭발 2건)이 발생했다.
이렇듯 울산은 줄곧 화학사고 1위 자리를 놓친 적이 없다. 울산으로서는 이만한 불명예도 없다. 정부와 지자체, 기업이 앞장서서 사고발생률을 낮추는 노력을 하지 않고는 방법이 없다. 그런 점에서 이번 협약체결은 충분히 의미가 있다.
울산지역 화학사고 내용을 분석해보면 50% 이상이 안전기준 미준수 등 인적 과실이 원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7월과 8월에 발생한 염소가스 누출, 암모니아 누출 등도 결국은 안전기준미준수(용기관리 미흡)와 시설결함(밸브 노후화로 인한 이탈)이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1월19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발생한 차량성능 테스트 연구원의 질식사고도 따지고 보면 모두가 안전기준 미준수가 원인이었다.
울산미포와 온산국가산단은 국내 최대의 석유화학 집적화 단지인데다 조선, 비철금속 등 중후장대형 장치산업이 밀집해 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지역이다. 특히 석유화학단지는 시설이 노후화돼 툭하면 폭발 사고, 가스누출사고, 화재 사고가 빈발한다.
이번 협약에서 참여 기관들은 울산 산단내 화학사고 발생 시 인력, 장비, 방재차량, 방재물품 등을 신속하게 사고 현장으로 동원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필요시에는 울산 외 지역에서 발생한 화학사고에 대해서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또 평상시 협약 기관은 화학사고 및 테러를 대비하기 위해 합동훈련 계획을 공동으로 수립하고, 주기적인 훈련을 통해 비상 대응 능력을 키울 계획이다. 이번 방재 지원 체계가 제대로 구축돼 울산이 하루 빨리 재난도시라는 불명예를 벗어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