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장 예산지원 끊긴 어촌체험마을 운영 막막

2024-12-06     오상민 기자
갯벌체험(자료사진)

어촌체험마을 활성화를 위한 인력을 지원하는데 사용되던 예산이 끊기면서 어촌체험마을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어촌 자립이 사업의 최종 목표인 만큼 언제까지나 예산을 지원해줄 수는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5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어촌체험휴양마을은 어촌 주민의 정주·생활환경과 소득을 도시민 수준으로 강화하고 레저관광, 창업투자 등 신산업 활성화로 연안 경제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선정·지원하는 마을이다. 울산에는 동구 주전마을과 북구 우가마을이 있다.

해양수산부는 어촌 주민들이 고령임을 감안해 어촌체험휴양마을로 등록된 마을에 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과 각종 서무 업무를 도맡을 수 있는 ‘사무장 채용 지원 사업’을 실시해 국비를 지원했다. 당초 정부는 한시적으로 인력을 지원해 마을의 자립성을 키운다는 계획이었다.

올해부터 해당 지원 사업 예산이 전액 삭감되면서 10년 가까이 사무장 국비를 지원받아 사무장을 채용해오던 주전어촌체험마을의 시설 운영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예산 삭감 충격 완화를 위해 경기 안산, 전남 등 지자체들은 도비·시비 등 지방비를 마련해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울산 역시 지방비 확보 방안을 모색했지만, 여의치 않아 현재 사무장 채용 지원사업은 멈춰 있는 상황이다.

주전어촌계 관계자는 “어촌마을 주민은 다 고령으로 컴퓨터 사용 등 실질적인 서무 업무를 보기 어렵다”면서 “내년에도 사무장 없이 체험마을을 정상 운영할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고 토로했다.

어촌뉴딜 300 사업으로 일시 운영을 중단한 우가어촌체험마을 역시 사무장 채용 지원금 없이 내년 운영을 재개해야 하는 실정이다. 일단 북구는 어촌뉴딜 세부 사업으로 어촌마을 주민들의 인터넷 사용 등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는 등 인력 지원 사업 종료를 대비했다는 설명이다.

북구는 내년 어촌마을이 자체 운영을 한 뒤, 내후년께 운영 결과 등을 반영, 추가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어촌체험마을 시설 건립 등에 많은 국·시비가 이미 투입됐고, 사무장 급여 역시 지자체 재원으로 오랜 기간 지원한 만큼 자립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낙후된 어촌마을이 자생적인 활동이 사업의 최종 목표인 만큼 언제까지나 지원금을 주는 것은 어렵다”면서 “우선 내년 어촌체험마을 고도화 공모 등에 도전해 시설 개선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