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포화 울산 미포산단 확장사업 구체화

2024-12-13     석현주 기자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에 따른 산업시설 용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산업단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울산시가 추진하는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확장 사업이 구체화되고 있다.

울산시는 12일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확장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 내용’을 공개하고 주민 의견 수렴 절차에 들어갔다.

울산시는 동구 고늘지구(6만3600㎡)와 북구 진장지구(7만5000㎡)를 포함한 총 13만8600㎡를 미포국가산업단지에 추가로 편입할 계획이다.

고늘지구는 조선해양 및 스마트 선박 산업의 거점지구로, 진장지구는 미래자동차 산업의 거점지구로 개발될 예정이다. 이 두 지역은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이후 부족한 산업용지를 공급하고, 입주 기업 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핵심 지역으로 꼽힌다.

현재 미포국가산업단지 전체 면적은 4846만8232㎡에 달하지만, 이 중 지원시설 면적은 217만4260㎡로 전체의 4.5%에 불과하다.

특히 동구 지역은 문화·체육·복지시설 등 산업 지원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는 동구 일산동 일원에 복합문화센터, 근린생활시설, 스마트 선박 거점지구 등을 조성해 산업과 기술, 문화, 여가가 집적된 융복합 공간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번 확장 사업은 고늘지구와 진장지구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세부 계획을 조율 중이다.

고늘지구는 해안가 접경 지역으로, 해양 환경 변화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진장지구는 완충녹지 해제 구역에 산업단지를 확장하는 계획으로, 일부 주민 반대 민원이 제기된 상태다.

시는 지역 주민과 관계 기관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사업 구역 설정을 신중히 검토할 예정이다.

환경영향평가협의회는 생물다양성 보존, 생태축 연결, 수환경 관리, 주변 경관 보호 등의 항목에 대해 추가 검토를 권고했다.

시는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내년 초 국토교통부에 미포국가산업단지 개발계획 변경 신청을 제출할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미포국가산단은 지정된 지 60년이 지나면서 노후화와 과포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면서 “이번 확장 사업을 통해 이차전지 산업 등 미래 첨단 산업 육성 기반을 마련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