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당정공조로 野 주도 정국 돌파나서
2024-12-18 김두수 기자
여권의 이러한 기조는 더불어민주당 등 거대 야권이 정국 주도권을 쥔 상황에서 존재감을 잃지 않으려는 사전 포석으로 풀이된다.
권성동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17일 “앞으로도 국민의힘은 집권 여당으로서 긴밀한 당정 소통을 통해 한 치의 국정 공백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내년 1월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한미동맹, 대북정책, 외교, 통상, 에너지를 포함해 꼼꼼하게 준비해야 할 현안이 많다. 중요한 국정 현안들을 차질 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공직자들에게 흔들림 없는 행정을 당부한다”고 했다.
권 권한대행은 이날 김완섭 환경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안덕근 산업부 장관을 잇달아 회동했다. 권 대행은 또한 탄핵안 가결 이튿날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만났고 전날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만나 국정 현안을 점검했다.
국민의힘은 오는 20일 ‘국정 안정’ 고위당정협의회를 시작으로, 상임위별·현안별 당정 협의를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이와 동시에 민주당을 겨냥한 ‘역공 모드’에 다시 시동을 걸면서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연일 정조준하며 공세의 고삐를 바짝 조였다.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는 회의에서 “신속한 재판의 원칙은 탄핵 심판뿐만 아니라 이재명 대표의 재판에도 동일하게 적용돼야 한다”며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집중 부각했다. 주진우 당 법률자문위원장 역시 “사법 기능의 원칙상 대표에 대한 재판이 먼저 선고되는 것이 원칙”이라고 가세했다.
한편 정부는 19일 임시국무회의를 열어 6개 쟁점 법안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 여부를 심의할 예정이다.
방기선 국무조정실장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나 “각 부처에서 6개 법안에 대해 각각 검토하고 있다. 빠르면 이번 주 목요일(19일), 아니면 금요일(20일)에 최종적으로 임시국무회의를 열어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방 실장은 이어 “이 법안을 검토·판단하는 기준은 헌법과 법률에 부합하는지, 국가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가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야당은 지난달 28일 국회 본회의에서 양곡관리법·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어업재해대책법·농어업재해보험법 등 농업 4법 개정안과 국회법·국회증언감정법 개정안을 강행 처리한 바 있다.
지난 6일 정부로 이송된 이들 법안에 대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거부권 행사 시한은 오는 21일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