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관리 역량 강화 위해 전문인력부터 확보해야”

2024-12-24     석현주 기자
울산시의 방재안전직 공무원 미스매칭 비율이 84%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 재난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재난관리 부서에 유능한 전문인력을 배치해 재난안전 전담부서의 업무 기능과 담당공무원의 직렬 간 미스매칭 현상을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3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 울산재난안전 정책 토론회’에서 방기성 한국방재협회장이 ‘울산시 재난관리 정책 수립에 관한 제언’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밝혔다.

울산시 재난관리 전담부서인 재난안전실의 인력 구조를 살펴보면, 전체 정원 중 조직의 업무 기능과 일치하는 방재안전직렬보다 조직의 업무 기능과 무관한 일반 행정직들이 다수를 점하고 있어 부서의 업무 기능과 전문직렬 간의 미스매칭 비율이 80%를 넘어섰다.

이처럼 재난관리 부서의 업무 기능과 담당 공무원의 직렬이 불부합되는 미스매칭 문제는 전국적으로 거의 모든 자치단체의 공통적인 현상이다.

이에 방기성 회장은 “재난안전 업무와 관련해 지방자치단체장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일은 재난안전 업무에 전문성을 갖춘 유능한 인력을 확보해 해당 조직의 역량을 강화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재난안전관리 전담 인력의 정원을 늘려나가는 방안은 공무원 정원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현 정부의 인력의 운영 방침을 고려해 볼 때 현실의 벽을 넘기가 쉽지 않다”면서 “정년퇴직 등으로 발생된 공석을 재난관리부서 내의 직렬 불부합 공무원으로 재배치하고, 재난안전부서의 빈자리는 재난안전 전문 인력(방재안전직 공무원 등)을 신규 채용해 채우게 되면 총 정원을 증원하지 않으면서 재난안전 전문 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한편 이날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 울산 재난안전 정책 토론회’는 울산시가 유엔 국제연합 재난위험경감사무국(UNDRR)으로부터 ‘재난복원력 중심도시’로 공식 인증받은 뒤, 그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울산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UNIST와 함께 마련했다.

안승대 행정부시장은 “이번 토론회는 울산이 재난복원력 중심도시로 도약을 준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시민의 안전과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위해 울산의 재난안전 정책을 끊임없이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