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 선도 도시 울산’ 위한 지원체계 고민
2024-12-26 전상헌 기자
천 의원은 지난 24일 시의회 4층 다목적회의실에서 담당 공무원 등 10여명과 함께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운영·지원 조례안 제정을 위한 간담회’를 여는 것으로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다고 25일 밝혔다. 그는 이르면 내년 상반기까지 관련 조례 제정, 시범운행지구 지정, 상용화 촉진 등 자율운행자동차의 체계적인 운영 및 지원체제를 순차적으로 정비·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울산시 주력산업과와 교통기획과, 버스택시과, 스마트도시과 등 관련 업무 담당자가 자율주행자동차 선도도시를 위한 기술현황과 관련 법규, 지원방안 및 국내외 동향 등을 공유하고, 조례로 반영해야 할 부분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천 의원은 “울산시가 미래 첨단 교통기술로 주목받는 자율주행기술의 선도 도시로 도약하려면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과 시범운행지구 운영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며 “여러 부서에 분산돼 있는 자율주행 관련 업무를 조정·통합할 컨트롤타워가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관계 공무원들도 “자율주행차 업무와 관련, 주력산업과는 연구개발을, 교통기획과는 자율주행협력시스템 등 교통서비스 관련 분야를 각각 맡고 있고, 운송 관련 사항은 버스택시과, 스마트도시 조성 업무는 스마트도시과 소관으로 다양하게 분산돼 있어 부서 간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에 천 의원은 “자율주행 기술은 편리한 교통수단이지만 그럴수록 사고 방지를 위한 철저한 기술적 검증은 물론, 운행 인프라, 교통시스템, 주행플랫폼 등 여러 분야에서 부서간 유기적인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며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미래의 시행착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관 부서의 지정 등 조직 정비가 무엇보다 우선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자율주행자동차 시장은 2025년부터 급성장해 2030년쯤에는 버스·택시·배송 등의 서비스에 자율주행기술이 대중화되는 등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울산도 지난해 테크노산단 내 1.8㎞ 구간이 자율자동차 시범운행지구로 선정되며 현재 실증사업이 진행 중이고, 내년에는 자율주행 시내버스와 셔틀버스 등의 자율주행자동차 서비스가 실행될 예정이다.
전상헌기자 honey@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