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산업용지 공급, 사람·기업 모이는 ‘꿈의 도시’ 기대

2025-01-17     경상일보

울산시가 올해 도시분야 정책 목표를 ‘울산 사람!, 울산 기업!’을 위한 도시공간 조성으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미래 신성장 융복합 거점 및 균형발전 촉진, 기업투자 촉진을 위한 산업용지 적기 공급, 산업단지 기반시설 확충에 적극 나서겠다는 것이다. 주력산업 성장력 둔화로 ‘디스토피아’라는 불안한 미래를 맞이한 울산을 다시 기업 투자·일자리·사람이 모여드는 ‘꿈의 도시’로 되돌려 놓고자 하는 강력한 시정 의지를 엿보이게 하는 대목이다.

울산시가 발표한 2025년 도시 분야 주요 정책 과제를 보면 올해 ‘꿈의 도시 울산, 울산에는 울산 사람들이 있다’는 시정 목표 달성을 위해 ‘일자리가 넘치는 경제활력도시 건설’에 속도를 더 내겠다는 정책의지를 담았다. 특히 주력 산업 고도화와 미래 신산업 육성, 기업 투자 촉진을 위해 대규모 산업용지를 개발 및 공급이 핵심 정책이다.

주요 과제를 보면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해 현대차 전기차 전용공장 가동과 연계해 동구 서부동 일원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해 2028년까지 남목 일반산업단지를 조성하고, 고품격의 지식 집약적 첨단산업단지 조성을 목표로 2029년까지 중구 성안·약사 일반산업단지 조성한다. 과포화 상태인 중산산업단지를 확장해 산업용지·지원시설 용지를 추가 공급한다.

국가산업단지도 대폭 확장한다. 북구 진장지구·동구 고늘지구 자연녹지를 활용해 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를 대거 확장하고, 울주군 청량 용암·온산 학남리 일원을 개발하는 온산국가산업단지(1단계) 확장 사업도 추진한다. 지역 주력산업의 고도화·첨단화 및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투자 용지를 적기에 제공하고, 미래 신성장동력산업 육성을 위한 혁신 거점 구축이 목표다.

이차전지, 수소. 반도체 등으로 신성장 산업을 키우려는 울산에 가장 큰 걸림돌은 부족한 산업용지 확보 문제이다. 산업단지 개발은 지역 내 부족한 산업용지를 추가로 공급해 기업의 탈울산 방지와 고용증대 등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여기에 노후산업단지를 산업, 문화 등 융복합 공간으로 바꾸면 산업단지의 경쟁력도 높일 수 있다.

울산이 인구감소·지방소멸 등 대전환 시대에 살아남으려면 선제적 전략과 실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도시공간의 혁신과 산업용지 공급은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전략이다. 울산의 미래는 곧 일자리와 인재, 기업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