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책 대결은 실종…막판까지 막말·네거티브 논란 계속
민주당 ‘신종코로나 위기 극복’
통합당 ‘정권 심판’ 집중 포화
후보 간 고소·고발도 잇따르고
정치공작 논란 벌어지기도
2020-04-14 김두수 기자
여야 총선지도부는 공천 과정서 불거진 각종 잡음과 비례정당 설립을 둘러싼 설왕설래로 얼룩진 채 선거운동을 펼쳤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태풍이 총선 이슈를 잠식했고, 전국 곳곳의 유세는 비교적 차분하게 진행됐다.
그런 가운데서도 포퓰리즘과 막말, 네거티브 논란 등은 계속됐다. 정책 대결은 존재감이 희미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코로나 위기 극복’을,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은 ‘정권 심판’을 핵심 메시지로 내세워 선거운동을 벌였다. 여야 모두 거물급 인사들을 총동원했고, 특히 수도권에 화력을 집중했다.
선거운동 초반 민주당은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해 여야가 힘을 모으자며 ‘화해와 협력’을 강조했다. 이낙연 코로나국난극복대책위원장은 “저부터 통합당 황교안 대표를 미워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반면 제1야당 미래통합당은 경제·안보의 어려움, 코로나 대응 미숙을 지적하며 정권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맞섰다. 황교안 대표는 “경제와 안보를 국민이 지켜야 하는 나라는 비정상이다. 비정상 정권을 심판하자”고 톤을 높였다.
이 과정에서 여야가 앞다퉈 코로나 사태 대응을 위한 전 국민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주장하며 ‘포퓰리즘’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정부가 소득 하위 70% 가구에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민주당은 긴급재난지원금 대상을 ‘전 국민’으로 확대하겠다고 약속했고, 통합당은 ‘국민 1인당 50만원’ 지급을 들고나왔다.
울산을 비롯해 전국 주요 지역구 후보 간 고소·고발전도 잇따랐다.
정치공작 논란도 벌어졌다. 민주당 이해찬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통합당이 텔레그램 n번방 사건 여권 인사 연루설 등 흑색선전에 나설 것’이라며 경계 수위를 높였고, 통합당은 실제로 관련 제보를 폭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다가 이를 접었다.
여야는 ‘진흙탕 싸움’ 중에도 지난 10~11일 사전투표 독려에 화력을 쏟았고, 21대 총선 사전투표는 26.69%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통합당의 ‘막말 악재’ 등으로 총선 후반 판세는 점차 민주당 쪽으로 기우는 양상을 보였다. 민주당은 내부적으로 승기를 잡았다고 판단하면서도 ‘겸손’을 강조하며 낙관론을 경계했다. 노무현재단 유시민 이사장의 ‘범진보 180석’ 전망 등이 ‘오만’으로 비쳐 야권 지지자 결집을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하는 기류가 컸다.
수세에 몰린 통합당은 ‘잘못하면 개헌 저지선(100석) 확보도 어렵다’고 강조하며 정권 견제를 위해 한표를 행사해달라고 읍소하는 전략을 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